•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몽골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현대몽골어와 한국어의 사동 대조 연구 (A Contrastive Study between the Causative Form of Modern Mongolian and Korean [For Korean Learners of Mongolian])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7 최종저작일 2019.11
23P 미리보기
몽골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현대몽골어와 한국어의 사동 대조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동양학 / 77호 / 161 ~ 183페이지
    · 저자명 : 김기성

    초록

    본 연구에서는 현대몽골어의 태(態, хэв, voice) 체계 속에서 ‘사동(使動, causative)’에 대한 유형 및 구성, 또한 그의 의미, 기능, 용법 등을 정리해 살펴보고, 이후 이를 기준으로 여기에 대응 가능한 한국어 ‘사동’과서로 대조 분석해 보았다. 아울러 이러한 대조를 통해 이들이 서로 어떠한 유사점과 차이점 등을 갖고 있는지살펴보았으며, 양 언어의 학습자들에게 담화, 문맥 등의 상황에서 매우 중요하게 나타나는 사동의 올바른 사용법과 이를 위한 기초자료 등을 제시해 보았다.
    현대몽골어와 한국어 모두 자동사, 타동사 어느 것에나 사동 접사(몽골어: ‘-уул2’, ‘-лга4’, ‘-га4’, ‘-аа4’, 한국어: ‘-이-’, ‘-히-’, ‘-리-’, ‘-기-’, ‘-우-’, ‘-구-’, ‘-추-’, ‘-시-’, ‘-으키-’ 등)를 연결해 타동사 사동을 만든다. 이러한 파생적 사동이 일반 보편적이다.
    현대몽골어와 한국어의 사동은 일반적으로 활용 방법 면에서 유사한 면을 보인다. 자동사에서 파생된 사동(사동문)의 경우 능동문의 주어는 사동문의 목적어가 되고, 새로운 주어가 들어가(나타나) 사용된다. 능동문의 주어가 사동문의 목적어가 되면서 목적격 어미(몽골어:‘-ыг/ийг, -г, 목적격 의미의 ø’, 한국어:‘-을/를, 목적격 의미의 ø’)를 취하게 된다. 타동사에서 파생된 사동(사동문)의 경우 능동문의 주어는 사동문의 부사어가 되며, 새로운 주어가 들어가(나타나) 사용된다. 능동문의 주어가 사동문의 부사어가 되면서 여·처격 어미(몽골어:‘-д/т’, 한국어:‘-에게/-한테, -께/’)나 또는 도구격 어미(몽골어:‘-аар4’, 한국어:‘-로(-로 하여금)’를 취하게 된다.
    한국어의 사동(사동 표현, 사동법)은 일반적으로 1) ‘시키다’와 같은 어휘를 써서 사동문을 만드는 방식인 ‘어휘적 사동’, 2) ‘-이-, -히-, -리-, -기-, -우-, -구-, -추-, -애-, -시-, -으키-’ 등과 같은 파생접미사를 동사 뒤에 붙이고, 능동문의 주어를 목적어 또는 ‘-에게/한테/께’ 형태의 부사(부사어)로 바꾸며, 새 주어를 도입함으로써 사동문을 만드는 ‘파생적 사동’, 3) ‘-게 하다/만들다, -도록 하다/만들다’와 같은 통사적 구성을 동사 뒤에 붙이고, 새로운 주어를 도입함으로써 사동문을 만드는 방식인 ‘통사적 사동’ 등으로 비교적 세분화되어 있는 반면, 현대몽골어의 사동은 ‘-уул2, -лга4, -га4, -аа4’와 같은 형태의 사동 접사를 동사의 어간에 연결해 사동의 의미를 표현하는 파생적 사동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한국어에 비해 상대적으로 다양하지 못하다는 차이점을 갖는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types, composition, meaning, and function of the causative form(사동, 使動) of the modern-day Mongolian language, and analyzes it by comparing with the causative form of the Korean language.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In a causative sentence, the subject means that it is the one that has the other agent do an act rather than a actual agent(direct agent) of a specific act.
    In case of causative(causative sentence) derived from intransitive verb, the actual agent appears in the form of having objective ending(Mongolian: ‘-ыг/ийг, -г, ø’ of objective meaning, Korean: ‘-eul/reul[-을/를], ø’ of objective meaning).
    In case of causative(causative sentence) derived from transitive verb, the actual agent appears in the form of having dative·locative ending(Mongolian: ‘-д/т’, Korean: ‘-ege/hante/gge[-에게]/[한테]/[께]’) or instrumental ending(Mongolian: ‘-аар4’, Korean: ‘-ro[-로](-ro hayeogeum[-로 하여금])’.
    These can be considered as the similarity of the two languages.
    ◾The causatives of modern Mongolian and Korean generally show similarity in the usage methods.
    In case of causative(causative sentence) derived from intransitive verb, the subject of active sentence becomes the object of causative sentence, and new subject appears. As the subject of active sentence becomes the object of causative sentence, it takes the objective ending(Mongolian: ‘-ыг/ийг, -г, ø’ of objective meaning, Korean: ‘-eul/reul[-을/를], ø’ of objective meaning).
    In case of causative(causative sentence) derived from transitive verb, the subject of active sentence becomes the adverb of causative sentence, and new subject appears. As the subject of active sentence becomes the adverb of causative sentence, it takes dative·locative ending (Mongolian: ‘-д/т’, Korean: ‘-ege[-에게]/-hante[-한테]/-gge[-께]’) or instrumental ending(Mongolian: ‘- аар4’, Korean: ‘-ro[-로](-ro hayeogeum[-로 하여금])’.
    ◾The causative(causative expression, causative method) of Korean is divided into 1)‘language causative form’ that makes causative sentence using such word as ‘sikida[시키다]’, 2)‘derivative causative form’ that makes causative sentence by putting derivative suffixes such as ‘-i-[-이-], -hi-[- 히-], -ri-[-리-], -gi-[-기-], -u-[-우-], -gu-[-구-], -chu-[-추-], -ae-[-애-], -si-[-시-] and –euki-[-으키-], changing the subject of active sentence to object or adverb in the form of ‘-ege/hante/gge[-에게]/[한테]/[께]’, and adopting new subject, and 3)‘syntactic causative form’ that makes causative sentence by putting syntactic configurations such as ‘-ge hada/mandeulda[-게 하다/만들다]’ and ‘-dorok hada/ mandeulda[-도록 하다/만들다]’ at the stem of verb and adopting new subject. Whereas, the most general form in the causative of modern Mongolian is the derivative causative form that expresses the meaning of causative by connecting causative affixes such as ‘-уул2, -лга4, -га4, -аа4’ to the stem of verb. Therefore, modern Mongolian is not as various as Korean.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