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韓国語母語話者を対象としたピア․ラーニングにおける学習形態の違いに対する学習者の意識 - 教室空間とグループ編成を中心に -

1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7 최종저작일 2017.03
17P 미리보기
韓国語母語話者を対象としたピア․ラーニングにおける学習形態の違いに対する学習者の意識 - 教室空間とグループ編成を中心に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북아시아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북아 문화연구 / 1권 / 50호 / 257 ~ 273페이지
    · 저자명 : 이시즈카 켄

    초록

    Learners’ Mindset When Methods Are Different in Peer Learning that Targets Native Korean Learners - Focused on learning space and grouping - Ishizuka Ken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o clarify how different learning spaces (or classrooms) and grouping (or pair) methods of peer learning affect the mindset of a learner. Also, an interview was carried out to add a qualitative factor. In the three different class types of uniform learning, ‘ㄷ,’ and a fixed group, a Japanese class with a peer learning concept was given, and then the survey and the interview were conducted. Before the survey,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learner’s tendency and to set questions.
    In the uniform types of learning classroom, learners freely choose seats and members to do assignments with, but they normally do activities with the same members. They accept positively that they can study both in the seats and with the friends they like, but from the perspective of peer learning, only a few pairs or groups achieve effective learning. Intimacy reduces psychological anxiety, but it is hard to balance language level or motivational differences between group members, so this method is effective on only a portion of learners.
    In the ‘ㄷ’ type of classroom, a sense of unity, partner diversity, and novelty are accepted positively, but it has a negative impact on building relationships with partners. The survey result shows that it is better to have the same partners for a certain period, rather than to have a new partner in every class. Also, having a teacher to choose partners, who knows the readiness of the learners (*readiness refers to a learner’s information such as one’s learning maturity, the learner’s condition, or the learning environment), gives more balanced learning pairs.
    In the fixed group types of classroom, the learners accepted this method positively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active learning. Not only was their own Japanese learning stimulated through activities with other members, but it also clearly showed that the burden on learners was reduced. However, it became clear that motivation, cooperation, and appropriate level differences in the group members are the necessary conditions to achieve those effects. Even from a conductor’s point of view, this type can control both small and large groups; it is expected to be one of the most effective learning space methods in peer learn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북아 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