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양파껍질 염색을 통한 전통한지와 전통와시의 염색성 실험 - 쌍발지와 외발지를 중심으로 - (Study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Hanji and Washi through the analysis of dye, extracted from the peel of an onion - Focused on Oebal process in traditional Korean way and Ssangbal process in traditi)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7 최종저작일 2018.02
14P 미리보기
양파껍질 염색을 통한 전통한지와 전통와시의 염색성 실험 - 쌍발지와 외발지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포럼 / 23권 / 1호 / 109 ~ 122페이지
    · 저자명 : 고소미, 김성연

    초록

    연구배경 동아시아에 있어서 초지법은, 용도와 기호에 따라, 또는 각각의 문화나 풍토에 의해 독자적으로 발전하였으며 그 때문에 제지사는 주변국과의 영향관계에 따라 발전되어 왔다. 그러나 근대 한국의 초지법은, 일본의 식민지 정책에 의해 새로 도입된 일본식 개량제지법의 보급에 따라 전통적인 방법이 희박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는 기계화되고 산업화되어가는 현대사회에서 점점 잃어가고 있는 우리나라의 전통종이의 역사와 초지법, 그리고 조형적 특성을, 우리의 근대 역사 속에서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었던 일본의 와시와 비교하여 고찰하고자 한 것이다. 그리하여 수록지의 전통 계승과 발전에 기여함과 더불어 한지라는 소재의 저변확대를 꾀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한국과 일본의 전통수록지의 특징을 종이의 염색성의 실험을 통해 종이의 강도와 염색성의 관계, 그리고 종이의 뜨는 방법의 차이에서 오는 특징을 알아본다. 염색성 실험은 양파껍질로부터 염료를 추출해서 시간, 농도, 온도, pH, 매염제에 따른 색차 값을 구하여 한지와 와시의 염색특성을 통해 양국의 전통적인 한지와 와시의 차이와 각각의 특징을 알아본다.
    연구결과 산성성분의 펄프가 소량 함유되어 있는 기계지는 닥 100%의 수록지와 비교해 리그린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서 비결정영역이 늘어나 가수분해반응에 의한 염료의 침투가 용이해서 염착력이 뛰어났다. 쌍발식의 전통와시는 외발식의 전통 한지에 비해 염착력이 높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것은 가둬뜨기 형식의 쌍발식은 섬유가 여러방향을 향함으로써 비결정영역이 늘어날 가능성이 높아 염착력이 커지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한지는 와시에 비해 염착력이 떨어지지만 강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그리하여 종이의 강도와 염색성의 관계, 그리고 그러한 강도적 특징이 나타나는 주된 원인의 하나가 초지법의 차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결론 와시가 한지에 비해 염착력은 뛰어나지만, 강도 면에서 전반적으로 한지가 우수하다. 친환경소재로 주목받기 시작한 한지와 와시는 항균성, 소취성, 통기성, 흡습성 등의 친환경적인 특성에 의해 건축재료, 오가닉 소재 등으로 발전되어 가고 있다. 한지와 와시는 중성지로서 1000년을 견딜 수 있는 종이이다. 서양의 펄프지는 산성지로 100년을 넘기기 어려워 역사기록물 복원에 중성지인 전통 수록 닥종이에 관심이 모이고 있지만 거의 대부분이 와시라는 점이 아쉬운 부분이다. 전통 섬유의 활용에 있어서 한지의 강인함과 와시의 높은 염착력이 가지는 각각의 장단점을 알고 보완하여 발전시켜 나아가야 한다고 생각된다.

    영어초록

    Background In East Asia, paper manufacturing has been independently developed based upon the usage and taste, or culture and natural characteristics, so that the paper making companies have been growing according to the influential relationships with surrounding countries. However, modern paper manufacturing of Korea faces the reality of losing traditional method due to the distribution of improved manufacturing technology newly adopted into Korea as part of Japan’s colonial era policy. This research focuses on Korea’s history, manufacturing and plastic feature of traditional paper that are losing thrust in modern society compared to Japan’s Washi, which inevitably influenced the Korean paper regarding modern history. Therefore, it tries to expand the base of Hanji, the Korean paper, by contributing to the succession of tradition and development of paper.
    Methods Through the experiment of dyeing ability of paper, we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paper of Korea and Japan through the relation between paper strength and dyeability, and the difference of how paper is being floated. In the dyeing experiment, we calculated the color difference values according to time, concentration, temperature, pH and fixative by extracting dye from the onion skin. Then, we look into the difference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paper and Washi through the dyeing characteristics of each paper.
    Result The machine paper containing a small amount of acidic pulp contains a large amount of lignin component compared with the paper with 100% of mulberry, so that the amorphous area is increased, resulting excellence in dyeing ability due to penetration of the dye through hydrolysis reaction is easy. Twin style traditional Washi, compared to single style traditional Korean paper, resulted in having higher coloring power. This seems to be due to the increased possibility of extended amorphous regions as the fiber could be multi-directed to increase the coloring power. Also, it shows that Korean paper has lower coloring power but higher strength compared to Washi. Therefore, it was the difference of paper manufacturing technique which resul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ngth of paper and dyeing, and the appearance of strength-related characteristics.
    Conclusion Washi contains higher coloring power compared to Korean paper, but with respect to strength, Korean paper excels. Korean paper and Washi became noticeable with their eco-friendly properties and with their characteristics of antibiosis, deodorizing, air permeability and hygroscopic property, they are frequently used as building and organic materials. Korean paper and Washi are neutral paper and can withstand 1,000 years. It is difficult for western pulp paper to pass over 100 years because it is acidic. Therefore, lots of interest are focused in paper created by mulberry to recover historical documents but it is disappointing that most of them are Washi. It is notable that it is necessary to know and improve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 strength of Korean paper and the high coloring power of Washi in the utilization of traditional fib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포럼”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