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국제이해교육의 지역별 동향 분석 연구: 유럽․북미․아시아태평양․아프리카를 중심으로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on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EIU): Based on the Regional Analysis of Europe, North America, Asia Pacific, and Africa)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7 최종저작일 2017.09
28P 미리보기
국제이해교육의 지역별 동향 분석 연구: 유럽․북미․아시아태평양․아프리카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비교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교육연구 / 27권 / 4호 / 127 ~ 154페이지
    · 저자명 : 김현덕, 강순원, 이경한, 김다원

    초록

    개인의 인권과 세계평화의 기원이라는 철학을 바탕으로 20세기에 탄생한 국제이해교육은 유네스코「1974년 국제이해교육 권고」를 바탕으로 국가별 환경과 문화에 따라 다양하게 전개되어 왔다. 그러나 21세기 지구의 생태, 사회, 경제적 환경이 변화하면서 과거 세계평화를 위해 국가간 이해와 협력을 위해 발의된 국제이해교육이 21세기에도 여전히 유의미한지, 변화가 필요하다면 어떤 방향을 지향해야 하는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유럽지역, 북미지역, 아태지역, 아프리카지역 등의 국제이해교육 현황을 조사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실증조사를 위해 연구자들은 상기 연구대상지역의 국제이해교육 전문가 34명을 면담조사 하였다. 조사결과 국제이해교육 관련 용어들이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지역별로 강조하는 점이 조금씩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용어의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유네스코에서 강조하는 인권, 평화, 평등과 사회정의 및 상호이해를 국제이해교육에서 공통적으로 다루고 있었다. 또한 이들 4개 지역에서는 국제이해교육을 학교교육, 사회교육, 평생교육의 차원에서 진행하고 있었으며, 최근에는 시민성과 시민성교육을 강조하는 가운데 특히 중층적 정체성을 인정하는 글로벌시민성을 중요하게 다루고 있었다.
    국제이해교육과 관련하여 4개 지역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또 하나의 특징적 측면은 21세기의 세계화에 대응하는 접근법으로 경제적 경쟁력을 강조하는 국가주의의 강화와 함께 세계 공통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글로벌시민성의 함양이 함께 공존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21세기 세계적 이슈 중 하나인 세계적 불평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시민의 자발적 참여와 책무성을 강조하는 국제이해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음이 국제비교연구를 통해 관찰되었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향후 국제이해교육의 새로운 접근법으로 세계문제의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 세계문제를 지역사회의 문제와 연결하는 “glocalism”을 제시하였다.

    영어초록

    EIU has evolved diversely depending on the national environment and culture on the basis of the philosophy of individual human rights and world peace articulated in the「1974 Recommendation on EIU」. However, the global environment surrounding EIU has been changed socially, economically, culturally and ecologically in the 21st century, an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aise the following questions: Is the concept of EIU initiated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and cooperation for world peace in the 20th century still valid in the 21st century? Which direction should we take in order for EIU to be efficient in the globalized world? To answer these questions, this study reviewed and analyzed the historical development and current trends of the EIU in the regions of Europe, North America, Asia Pacific area, and Africa.
    For the empirical study, thirty-four experts in EIU selected from the four regions were interviewed by the researchers. Based on the interviews and the related literature review, it was found that the diverse terms of EIU were used in the four regions and the focus on EIU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geographical, historical and social environment of each region. But, despite of the diversity in terminology in EIU, human rights, peace, equity and social justice which are emphasized by UNESCO, were universally taught in EIU. The EIU in these regions is currently dealt with in school education, social education and lifelong education, and particularly global citizenship allowing multiple identities is importantly treated together with citizenship education.
    Another important aspect of EIU that was commonly found in these four regions was that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for solving global problems was coexistent with the reinforcement of nationalism for the economic competency of each nation in a globalized world. The issue of global inequality was particularly dealt with in EIU, and the teaching of voluntary civic involvement and responsibility were particularly emphasized in EIU.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the study proposes “glocalism”, connecting global issues with local issues for solving global problems, as a new approach to the EIU of the 21st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