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量(pramāṇa)의 종류에 관한 대론: Pramāṇavārttika에서 유물론 및 반대자와 논쟁을 중심으로 (Debate with Opponents Who Argues Existence of more than 3 types of Pramāṇa : Based on the assertions of Cārvāka or opponents in Pramāṇavārttika)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7 최종저작일 2014.12
25P 미리보기
量(pramāṇa)의 종류에 관한 대론: Pramāṇavārttika에서 유물론 및 반대자와 논쟁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철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철학연구 / 107호 / 1 ~ 25페이지
    · 저자명 : 원혜영

    초록

    불교 프라마나(Pramāṇa) 전통에서, 바른 인식(量, pramāṇa)은 지각(現量, pratyskṣa)과 추리(比量, anumāna)의 두 가지이다. Pramāṇavārttika에서, 다르마끼르띠(Dharmakīrti)는 량(量)에 관하여 다른 학파들과 자연스럽게 논쟁한다. 다르마끼르띠는 유물론(Cārvāka)자, 그리고 인도의 다른 학파들에서 예상되는 반론에 답한다. 논쟁에서 다르마끼르띠는 jāti(種)과 sāmānya(共相)을 거의 동의어로보고 있다는 점도 주목해야 한다. 이 논쟁에서 인식의 수단(量, pramāṇa)을 규정하는데, ‘abhāva(無)’는 주요하게 사용되고 있다. 다르마끼르띠는 비량에 의해서‘abhāva(無)’와 ‘anitya(無常)’을 파악하게 한다. 더불어 그것을 인정하게 함으로 인해, 반대론자들이 말하는 하나의 pramāṇa(量)뿐이라는 유물론자의 논의, 또는 량을 세 종류 이상이라는 주장을 논파된다. 모든 것이 객관적인 실재라고 말하는실재론자들의 견해에 따르면, 비인식, 즉 존재하지 않는 것을 인정하는 것은 논리적으로 어려움을 동반한다. 모든 앎이 그것을 뛰어넘는 어떤 것으로 있다면,그것은 그 지식이 부정되고 지식으로부터 떨어져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부재라는 것은 우리가 가지고 있는 인식으로부터 어떤 대상을 부정하는 것을 인정하는 것이고, 이것은 그와 같은 인식 없이는 설명할 수 없을 것이다. 대론자들의 비난, 다르마끼르띠의 반론, 그리고 파생하는 문제들은 불교 인식론을 다른 학파들과 다르게 특별하게 각인시키는 방법들이다. 이 논문의 일부는 戶崎宏正의 글에서 그의 논지와 주장에 영향 받았음을 밝힌다.

    영어초록

    In the Buddhist Pramāṇa school, there are two types of the rightfulknowledge(pramāṇas): pratyskṣa and anumāna. In Pramāṇavārttika,Dharmakīrti is showed a this view which confronts Cārvāka and otherIndian Buddhist philosophy schools and it naturally constitutes theformation of discourse. In the argumentation, it is noticeable thatDharmakīrti regards jāti and sāmānya as synonyms. In this argument‘abhāva(無)’ is mainly used as background term in defining pramāṇa, ameans of recognition. Dharmakīrti confutes Cārvāka’s argument thatpramāṇa is just or is more than three kinds what it is by admittingthat ‘abhāva(無)’ and anitya(無常) is percieved by anumāna(比量).
    The said non-existence is accepted and carried to its logical extremewithin the view of realism, namely that everything is objectively real.
    If all knowledge points to something beyond it, so also does theknowledge points to negation and implies its existence apart from itsknowledge. The absence has to be admitted as the object of thenegative form of cognition which we do possess. Without this suchcognition cannot be explained. Criticisms of opponents, counterargumentof Dharmakīrti and derived problems are special ways to imprint theBuddhist epistemology different from other schoo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