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일 양언어의 동사연결 현상 - ‘수익구문(受益構文)’을 중심으로 - (Verb Linking Phenomenon in both Korean and Japanese - Focusing on ‘Benefactive Constructions’ -)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6 최종저작일 2023.12
26P 미리보기
한일 양언어의 동사연결 현상 - ‘수익구문(受益構文)’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일본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日本語文學 / 1권 / 99호 / 41 ~ 66페이지
    · 저자명 : 박용만

    초록

    본 논문에서는 한일 양언어의 동사결합과정에서 볼 수 있는 차이점을 수익구문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먼저 ‘양언어 수익구문의 동사 결합 양상’을 통해 양 언어에 차이점이 있다는 것을 알았으며, 그 차이는 다음과 같은 4가지의 요인에 의한 것임을 제시하였다.
    첫째, 한국어에서 현재를 표현하는 방법의 다양성에 있다.
    둘째, ‘-てください’가 나타내는 의미 영역의 광범위함에 있다. 때로는 ‘명령’으로, 때로는 ‘의뢰’로, ‘권유’로 ‘희망’ 등 다양한 의미영역에서 사용되는 것을 일률적으로 ‘-해주세요’로 번역해서는 안된다.
    셋째, 편리한 대용표현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사 와/가 주다’와 ‘가지고 와/가 주다’를 각각 ‘사다 주다’, ‘가져다 주다’라는 보다 효율적인 표현할 수 있는 점을 들 수 있다.
    넷째, 한일 양 언어에의 문법화의 정도의 차이에 있다. ‘-어 주다’는 결속력이 여전히 강한 ‘원형’과 느슨해진 ‘주변예’가 공존하는 데 비해 일본어는 문법화 과정이 전반적으로 고르게 진행되어 왔다고 볼 수 있다.
    이 외에도 수수동사의 다양성에 차이가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일본어는 7개의 수수동사가 각 영역을 담당하는데 반해 한국어는 ‘수수동사’라는 범주도 확실하지 않을 뿐더러 보조동사로 확장되는 과정에서 그 영역이 더욱 좁아졌다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을 통해 한일 양 언어의 수익구문에 나타나는 동사연결현상의 특징이 어느 정도 설명이 되었으리라 생각한다. 이 결과의 주목은 한 일 양 언어의 교육적인 측면에도 일익을 담당하리라 기대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found in the verb conjugation process in both Korean and Japanese, with a focus on benefactive constructions. We confirmed this through factual observation and suggest that the following factors may cause this. First, there are multiple signs in Korean that represent current events. Second, the area represented by '-tekudasai' is wide-ranging. Sometimes it is used to mean a "command," and sometimes it is used to mean a "request", "solicitation", or "hope". Third, there are convenient substitute expressions. There are more efficient ways to express '사 와/가 주다' and '가지고 와/가 주다' as '사다 주다' and '가져다 주다' respectively. Finally,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degree of grammaticalization between the Korean and Japanese. In Korean, "-어 주다" coexists with the "prototype" which still has a bond with the main verb, and the "peripheral example", where the bond is somewhat loose. Another difference is the variety of giving and receiving verbs. This is because while in Japanese the seven verbs of giving and receiving play their respective roles organically, in Korean the scope has become narrower, especially as the use of auxiliary verbs progresses. I hope that this discussion of this paper will contribute to the field of linguistic research and language education for both languag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日本語文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