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養花小錄』을 통해 본姜希顏의 자연 ‘보기[觀]’ (Hŭi-An Kang’s Concept of ‘Seeing’ Naturein Yanghwasorok)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6 최종저작일 2025.03
28P 미리보기
『養花小錄』을 통해 본姜希顏의 자연 ‘보기[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 44권 / 1호 / 5 ~ 32페이지
    · 저자명 : 김연주

    초록

    본 연구는 『養花小錄』에 나타난 성리학적 학문 태도를 姜希顏의 자연 ‘보기[觀]’를 통해 탐구한다. 여기서 ‘보기’는 보이는 현상을 넘어 본질을 파악하고 窮理를 지향하는 태도로, ‘격물치지’를 실천하는 학문적 과정이다. 이는 불교의 慧眼과 상통하며 無心의 상태를 요구한다. 강희안은 식물에 풍격과 창의적 상상력을 부여하며 심미적 경지를 확장했고, ‘以物比德’의 意象을 통해 자연의 내재적 본질과 덕성을 연결하며 내면의 성찰을 중시했다. 이는 조선 초기 유가적 이상과 문인 정신의 융합을 상징한다. 궁극적으로, 『양화소록』을 통해 본 강희안의 자연 ‘보기’는 관직의 속박에서 벗어나 자연 속 위안을 찾고, 神遊를 통해 정신적 해방과 삶의 진정성을 회복하려는 실천적 과정이었다. 『양화소록』은 조선 초기의 문학과 철학의 경계를 확장한 고전으로, 현대에도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재조명하는 통찰을 제공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closely examines the Neo-confucian approach reflected in Yanghwasorok through the lens of Hŭi-An Kang’s concept, ‘seeing(觀)’ nature. In this context, ‘Seeing’ nature transcends its literal meaning and attempts to grasp its essence, aspiring to explore fundamental principles. This practice originates and resonates with the Buddist concept of the ‘insightful eye(慧眼)’ and demands a state of ‘no-mind(無心)’. Taking a deeper look into flowers with this unique concept, Hŭi-An Kang succeeded in excavating this unique methodology of investigating essences beyond mere visual perception. He granted plants plentiful ‘imagery(意象, ideal image)’ of ‘ethical qualities transcending physical forms(以物比德)’, and connected the inherent essence of nature to virtue and highlighted self-reflection. This approach embodies the fusion of the early Joseon Dynasty's respective Confucian ideals and literary spirit. In Summary, ‘seeing’ in Yanghwasorok is a process that seeks refuge from official duties to find consolation from nature and achieve spiritual liberation and authenticity in life through spiritual wandering(神遊). Yanghwasorok is a classical work that expanded the boundaries of literature and philosophy and continues to provide insights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humanity even in modern tim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순천향 인문과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