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太平洋戰爭期 滿洲國의 宣傳政策 (Manchukuo propaganda policy during the Pacific War)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6 최종저작일 2013.02
33P 미리보기
太平洋戰爭期 滿洲國의 宣傳政策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중국사연구 / 82호 / 375 ~ 407페이지
    · 저자명 : 전경선

    초록

    중일전쟁이 장기소모전의 수렁에 빠져 있는 가운데 일본은 동남아지역으로 다시 침략을 확대하였다. 이에 따라 일본의 만주국에 대한 인적, 물적 수탈이 증대되면서 전시경제통제도 한층 강화되었다. 이에 만주국에서는 盟邦 일본의 침략전쟁을 지원하기 위한 대민선전에 돌입하였다. 총력전과 장기전이 예상되는 전쟁을 적극 지원하기 위해서는 민중의 저항을 막고 나아가 그들의 동의와 협력이 필수적이었기 때문이다.
    태평양전쟁이 임박해올 무렵, 만주국에서는 긴박한 시국 하에 선전정책을 추진하기 위해 선전체제를 재편하고 강화시켰다. 우선 만주국 선전정책의 핵심 기구였던 홍보처를 개편 확대하는 것을 시작으로, 弘報三法을 공포하여 언론을 통제하고 장악하기 위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또한 법령에 근거하여 신문사의 통폐합이 진행되었다. 이로써 만주국 정부는 통신신문기관을 정부의 직접 통제 하에 두고 전시 보도전, 선전전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물적 기반을 조성하였다.
    특히 태평양전쟁기 홍보처는 선전기구이자 검열, 통제기구의 성격을 지니게 되었다. 이 무렵 선전은 신문을 비롯한 미디어통제와 병행해서 추진되었다. 종래 선전기구였던 홍보처의 업무와 권한이 확대하면서 질적으로 변화한 것에서도 알 수 있듯이, 선전은 그 영역이 확대되면서 통제의 측면이 강화되어 갔다.
    일본의 동남아 침략이 시작되자, 일본 정부는 중일전쟁을 지속시키기 위한 논리였던 ‘동아신질서의 건설’이라는 슬로건을 확장시켜 ‘대동아신질서의 건설’, ‘대동아공영권의 건설’을 구호로 내걸었다. 태평양전쟁은 대동아전쟁으로 불렸고, 중일전쟁 못지 않은 聖戰으로 미화되었다. 일본과 日滿一體不可分의 관계에 있던 만주국은 盟邦 일본이 주도한 전쟁에 적극 협력하였다. 날조된 대동아공영권의 명분 아래, 만주국은 스스로 대동아공영권 건설의 거점으로 북변 방위와 병참기지의 역할을 자처하고 나섰다. 따라서 만주국에서는 전쟁 수행에 소요되는 물자에 대한 증산과 아울러 통제가 한층 강화되었다. 곡물, 철, 석탄, 비철금속, 인조섬유 등에 대한 증산이 강요되고, 특히 만주국의 농촌은 대동아공영권의 식량공급지로서, 농산물의 증산, 노동력 공출 등의 국가적 요구가 집중하였다. 또 한편으로는 국가에 의한 강도 높은 노동통제와 노동력 징발이 강행되었다. 즉 ‘國民皆勞’,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한 勞務體制를 실행하여 노동력의 자급을 달성하고자 하였다. 특히 병역에 복무하지 않는 청년이나 학생들은 ‘勤勞奉公’의 명목 하에 강제 노역에 동원되었다.
    이렇듯, 태평양전쟁 시기 만주국은 일본의 병참기지 역할을 위한 전시통제경제체제 속에 놓이게 됨으로써 광범위한 인적 물적 자원의 통제와 동원이 강제되었다. 이러한 전시통제경제의 압박은 민중들의 불만을 야기하고 민심이 어지러워지는 것은 당연한 일이었다. 따라서 이러한 사태를 미연에 방지하고 나아가 전쟁 완수에 민중들을 동원하기 위한 선전공작이 총결집되었다.
    이제 선전은 국책을 주입하는 것뿐만 아니라, 전시통제경제의 압박에 시달리던 민중들에게 즐거움과 위안을 제공하는 역할까지 맡게 되었다. 이러한 선전방침의 변화는 영화, 라디오방송, 신문에도 반영되면서 대중들의 관심을 끌 수 있는 재미있는 영화, 라디오방송, 신문의 제작이 요구되었다. 또한 만주국의 급박한 시국 하에서 선전정책의 입안자들이 주목한 것이 문학, 예술, 이른바 ‘藝文’이었다. 태평양전쟁이 임박해질 무렵, 만주국에서는 문화에 관한 통제가 극적으로 강화되었다. 1941년 3월 「藝文指導要綱」이 발표되었고, 요강에서는 만주국에서 육성하고자 하는 예문의 특질이 규정되었다. 그런데 요강에 의거하면 만주국에서는 만주국의 독자성을 지니는 예문을 육성하고자 하였다. 이 시기 일본의 식민지에서 강제된 일반적 문화정책이 독립국을 표방한 만주국에서는 쉽게 적용될 수가 없었던 것이다. 따라서 만주국에서는 일본문화를 일방적으로 주입할 수 없었고, 일본문화와도 구별되고 중국의 것도 아닌 만주국만의 특징을 지닌 문화를 창출해내야 했다. 이것이 만주국 예문정책, 문화정책의 특징이자 딜레마였다.
    한편, 만주국에서 육성하고자 하는 예문은 순수문학, 순수예술이 아니라 정부에 의해 그 성격과 의무가 규정되어진 예문이었다. 즉 내용면에서 미적 입장에서 건국정신을 담아내야 하는 것으로, 건국정신으로 집약되는 만주국 정부의 의도를 담아서 모든 대중들에게 전달하고 또 감동을 불러일으키는 것이어야 했다. 예문가들에게는 이상과 같은 내용을 지니는 문학, 예술활동이 강제되었다. 태평양전쟁이 시작되자, 예문인들은 그들의 작품을 통해서 태평양전쟁의 聖戰性을 민중들에게 알리고 필승의 신념을 조장하는 임무를 부여받게 되었다. 시국은 날로 긴박해지고, 이른바 ‘決戰體制’로 갈수록 대중에게 국책을 주입시키고 협력하게 만드는 것이 중요했던 만큼 선전공작에 총력을 다해야 하는 상황으로 가고 있었다.

    영어초록

    This essay is aimed at exploring the propaganda of Manchukuo(滿洲國) in the Pacific War and its features. Over the past few years, in the midst of the Sino-Japanese War, Japan had strived to invade and occupy the region of South-east Asia. It was inevitable, consequentially, that Manchukuo was deeply influenced by Japan's policies due to its own substantial status as one of Japan's colonies, even though it pretended to be an ostensible independent nation.
    Ahead of the impending Pacific War, Manchukuo already had done propaganda in favor of Japan. To be specific, it proceeded by setting up and expanding the Publicity department(弘報處) that was the core institution for propaganda, and promulgating three Publicity Acts(弘報三法) to find grounds to support legal sanction against the media. These could be easily used to the glorification of the Pacific War as the holy war for joint defence against the US and Britain in favor of Asians.
    Manchukuo, at that time, endeavoured to devote its own capacity to propaganda maneuver in order to keep its people calm and to exploit them for the war. Thus, propaganda played the role of not only promoting national policy, but also providing its subjects suffered from the wartime economy with enjoyment and comfort. Especially the policy planners readily concentrated upon literature and art(藝文). Many artists and men of letters were subject to be regulated by authority and their works were to be strictly censored. They were forced to propagate the justification of the Pacific War in favor of Japan to the general public and to arm them with a firm belief of victory.
    As the state of affairs in and out Manchukuo was sharply shaken, it could not help but focusing its full attention on efforts at these manoeuvres. This ended up opening up the way for creating the atmosphere that politics just became the way of propagandizing and all the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becoming propaganda machine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국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