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쁘라마나 비니쉬짜야』의 유사지각(pratyakṣābhāsa)에 관한 자기인식론적 해석 (A self-perceptual interpretation of the Falsification of Perception(pratyakṣābhāsa) in Pramāṇaviniścaya)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6 최종저작일 2022.12
32P 미리보기
『쁘라마나 비니쉬짜야』의 유사지각(pratyakṣābhāsa)에 관한 자기인식론적 해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도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인도철학 / 66호 / 5 ~ 36페이지
    · 저자명 : 정성헌

    초록

    다르마끼르띠가 말하는 지각은 무분별이면서 비오류이다. 유사지각은 이러한 지각에서 배제된 지식, 즉 분별과 오류이다. 『양결택』 「지각장」 유사지각론은 게송 33과 그 자주로 되어 있다. 『양결택』은 『양평석』의 요약본이다. 『양평석』에서 다르마끼르띠는 디그나가와 같이 유사지각을 [분별] 오류지, 세속유지, 추리와 그 결과와 같은 세 종류의 분별지와 달이 두 개로 보이는 복시와 같은 한 종류의 무분별 오류지로 나누고 있다. 『양평석』과 『양결택』 모두 복시와 같은 손상된 감각기관에 의한 무분별 오류지에 대한 설명에 많은 부분을 할애하고 있다. ‘현량제분별’이라고 하지만 복시와 같은 무분별 오류지의 경우는 지각이 될 수 없다. 그래서 유사지각으로 분류된다.
    분별과 무분별 오류지로 나뉘는 유사지각도 자기인식에 해당한다. 분별지와 무분별 오류지를 형상진실론적 자기인식, 형상허위론적 자기인식으로 각각 살펴보면 모두 자기인식을 만족한다.
    자기인식은 유가행파에 있어서 외계대상을 부정하고 유식성을 논증하는데 중요한 수단이 된다. 이러한 자기인식에 유사지각도 포함된다는 사실은 유사지각에 대해서 부정적 시각을 벗어나 또 다른 긍정적 시각으로 해석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는 세속적으로 갈수록 오류가 나타나지만 승의적으로 갈수록 오류는 무의미해진다는 결론에 도움을 준다. 유사지각이 지각과 마찬가지로 자기인식이라는 점에서 중생이 깨달음의 길로 나아갈 수 있는 가능성을 논리적 관점에서 열어준 것이다. 이것이 바로 다르마끼르띠가 자기인식을 최종적으로는 유식성과 연결짓는 이유이기도 할 것이다.

    영어초록

    Dharmakīṛti(ca. 600-660) says that perception(pratyakṣa) is cognition which is free from conceptual construction(kalpanāpoḍha-jñāna) and nonerroneous cognition(abhrānti-jñāna). As far as Dharmakīṛti's concerned, falsification of perception(pratyakṣābhāsa) is a cognition that is excluded from this perception, that is, conceptual construction(kalpanā-jñāna) and error(bhrānti-jñāna).
    In the case of Dignaga(ca. 480–540), conceptual construction(kalpanā) was important in the condition of pratyakṣābhāsa, but in the case of Darmakirti, the condition seems to have shifted a lot in terms of errors(bhrānti).
    Focusing on 『Pramāṇavārttika』(PV), there are four types of pratyakṣābhāsa, three types of kalpanā-jñāna and one type of erroneous cognition what is free from conceptual construction(a-kalpanā-bhrānti-jñāna), focusing on Pramāṇaviniścaya(PVin), there are a total of six types of pratyakṣābhāsa, four types of kalpanā-jñāna, and two types of a-kalpanā-bhrānti-jñāna.
    In PVin 「The chapter of Perception」, The theory of pratyakṣābhāsa consists of a song of 33th and its svavṛtti. There are many parts where the content and words are omitted because the contents fully explained in PV. It is said that "perception excludes conceptual construction," but in the case of erroneous cognition(bhrānti-jñāna) such as the cognition through an eye disease(taimira), it cannot be perception, which is one of the right measure(pramāṇa). So it is classified as pratyakṣābhāsa.
    It is the same that the process of perception and falsification of perception is based on the two appearance of knowledge, that is, the object of cognition(grāhya) and subject of cognition(grāhaka). Falsification of perception, divided into conceptual construction and erroneous cognition what is free from conceptual construction, is selfawareness that has the object of cognition(grāhya) and subject of cognition(grāhaka).
    Understanding the cognition process as the relationship between grāhya and grāhaka, that is, the cognition object and the cognition subject, has room for errors from a non-Buddhism and practical perspective. Therefore, this should be viewed as a relationship between ālambya and ālambaka, as is well known, and as an relationship of dependent origination(pratītya-samutpāda) from the standpoint of traditional Buddhist doctrines. In this point, all cognition is self-awareness. Not only perception but also falsification of perception(pratyakṣābhāsa) are all self-awarene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