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90년대 이후 교마치야재생운동의 명암(明暗): 교토 니시진의 사례를 중심으로 (The Reality of Kyomachiya Revitalization Movements in Urban Kyoto after the 1990's: Focusing on the case of Nishijin)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6 최종저작일 2010.01
44P 미리보기
1990년대 이후 교마치야재생운동의 명암(明暗): 교토 니시진의 사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화인류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화인류학 / 43권 / 1호 / 129 ~ 172페이지
    · 저자명 : 김효진

    초록

    본 논문은 1990년대 이후 활성화된 교토 지역의 전통목조가옥인 교마치야 재생운동의 양상을 니시진의 한 신흥지역축제의 사례를 통해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1990년대 초반 교토 도심부의 고층건물 건설문제를 둘러싸고 일어난 제 2차 경관논쟁은 교토의 전통적 경관을 구성하는 핵심적인 요소로서 교마치야에 대한 폭발적인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그러나 기존의 문화유산과는 달리 여전히 서민의 주거공간으로서 기능하고 있는 교마치야는 보존의 어려움으로 인해 재생의 필요성이 강조되는데, 그 구체적인 양상은 교토 내부에서도 지역의 상황에 따라 다르다.
    니시진오리로 대표되는 전통섬유산업이 융성한 니시진의 경우, 지역 내부에 다수 남아있는 교마치야는 전후 지속적인 불황에 처해있는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는 수단으로 간주된다. 본 논문에서 주요한 사례로 다루고 있는 킨카가츠지 전통문화제는 주된 내용으로 교마치야의 내부 공개를 내세워 비슷한 성격의 지역활성화를 위한 신흥축제들 중에서 가장 성공한 사례로 꼽히고 있고, 교마치야 재생운동에 관심 있는 많은 외부자 및 외부단체를 끌어들였다.
    그러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 축제는 1) 전통문화제와 교마치야를 보는 시각의 차이 2) 지역 사회 내부의 편중으로 인한 내부의 갈등 3) 새로운 ‘지역 커뮤니티’의 탄생 4) 가시적인 이익에 대한 지역주민의 기대와 외부자 간의 괴리라는 문제에 직면하게 되었고, 이것은 마치야에 대한 지역주민들의 경험 및 기대를 배제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I critically examine how Kyomachiya (Kyotoites' traditional townhouses) revitalization movements has been developed and practiced especially after the 1990s' through the case of a newly-held local festival in Nishijin, Kyoto. The second landscape debate in the early 1990s' over the successive construction of high-rise buildings in urban Kyoto provoked Kyotoites' concerns about disappearing Kyomachiya, which had been an essential component of thetraditional landscape of Kyoto. Arising to face this situation,theKyomachiya revitalization movements emphasize the necessity of 'revitalizing' Kyomachiya for residents' convenience, not 'preserving.' The movements’ strategy is based on the fact that it is difficult to preserve Kyomachiya in general because a large number of Kyomachiya still used as private residence, unlike other cultural heritage buildings such as temples and shrines.
    The Gold Coin Crossing (kinkagatsuji) Traditional Festival is one of the local efforts to appropriate the current Kyomachiya boom in order to revitalize the Nishijin economy which has been depressed since the postwarperiod. Compared to other similar newly-held local festivals for town-making it has beena great success, attracting a great number of tourists and external agencies interested in Kyomachiya, such as the administration, mass media, universities, and researchers.
    The entrance of external agencies, however, brought about several unexpected outcomes. First, contradictions have resulted from differing perspectives onthe festival and Kyomachiya which divide the Nishijin residents and the external agencies. Second, competition has been intensified among external agencies over access to owners of newly revitalized Kyomachiya, and this competition has producedconflicts within the movement. A third unexpected outcome is the juxtaposition of the established neighborhood organizationswith the making of the Gold Coin Crossing as chiiki komyuniti, a once-forgotten name of the area and an invented tradition created for the Festival. Finally, the last unexpected outcome is theexclusion of most residents from the competition, which eventually must precipitate the decline of the Festival. In conclusion, all these problems have resulted in alienating residents and leaving them without fulfillment of their expectations for their Kyomachiy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화인류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