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L. 페트루쉐프스카야의 산문 <위생>에 나타난 ‘공포’의 모티프 연구 (The Motif of “Fear” in L. Petrushevskaya's Hygiene)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6 최종저작일 2022.09
24P 미리보기
L. 페트루쉐프스카야의 산문 &lt;위생&gt;에 나타난 ‘공포’의 모티프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노어노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노어노문학 / 34권 / 3호 / 109 ~ 132페이지
    · 저자명 : 양영란

    초록

    본 연구에서는 페트루쉐프스카야의 산문 <위생(Гигиена)>에 나타나는 디스토피아 서사의 주요 모티프를 분석하고, 작가가 전달하고자 하는 작품의 주제는 무엇인지 고찰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째, 디스토피아 서사 갈등의 핵심이 되는 ‘공포’의 의미를 살펴보고, 둘째, 작품 속에서 ‘공포’의 모티프가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 세 가지 관점 – 불확실성, 죽음, 죄의식 – 에서 분석하며, 셋째, 전염병의 상황 속에 처한 등장인물들의 의식과 그 의식에 따른 행위의 결과들을 고찰한다.
    불확실한 시공간과 불확실한 상황으로 작품의 배경으로 설정함으로써 작가는 이러한 디스토피아적 비극이 특정 시공간이 아니라 어떤 시간, 어떤 장소에서든 인류에게 발생할 수 있음을 독자에게 전달한다. 전염병으로 인한 죽음에 대한 공포는 등장인물 간에 혐오를 불러일으키고, 혐오는 타인을 ‘나’와 철저히 분리한다. 아늑한 보금자리로서의 ‘집’에 대한 전통적 상징적 의미는 파괴되고, 살아남기 위해 가족 구성원들마저도 서로에게 비체(卑體)가 되어 가는 잔인한 과정이 작품 속에 묘사된다. <위생>의 작가는 삶과 죽음 사이의 경계에서 죄의식에 둔감해지는 것이 아니라 죄에 대한 공포를 가질 때, 어떠한 디스토피아의 상황에서도 인간의 형상을 잃어버리지 않게 됨을, ‘새로운 삶을 시작하고, 대지를 복구하고 정화하게 될 선택받은 자’들로 살아갈 수 있음을 독자들에게 전하고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sets out to analyze the motif of “Fear” in L. Petrushevskaya's Hygiene. The objectives of the study are: to examine the meaning of 'fear', which is the leitmotif of the dystopian narrative in Hygiene; and to analyze the motif of fear from three perspectives – fear of ‘uncertainty’, of ‘death’, and of ‘guilt’ – and how it is embodied in the work.
    By setting an uncertain time and space and an uncertain situation as the background of the work, the author delivers her message to readers that such tragedies can happen to mankind at any time and any place, not just in a specific time and space.
    Fear of death provokes misanthropy, and it completely separates a person from all others. In this story, the author depicts the brutal process of family members becoming completely depersonalized to each other.
    The author of Hygiene warns readers that fear of guilt must be clearly recognized in the situation of the boundary between life and death. Rather than becoming insensitive to guilt, when we are wary of sin and have the fear of guilt, we will not lose our human dignity in any dystopian situation.
    The leitmotif of Petrushevskaya's Hygiene is ‘fear’, but the meaning of this fear is overturned into the meaning of ‘hope’ by a girl who makes the right moral choice with pure and warm hear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노어노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