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시칠리아 이슬람화와 ‘이프리키야’(Ifriquia) 베르베르인의 역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slamization of Sicily and Role of the ‘Ifriquia’ Berber)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6 최종저작일 2021.06
33P 미리보기
시칠리아 이슬람화와 ‘이프리키야’(Ifriquia) 베르베르인의 역할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비교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비교문화연구 / 63권 / 139 ~ 171페이지
    · 저자명 : 임기대

    초록

    본고에서 언급하는 ‘마그레브’ 혹은 ‘이프리키야’는 이슬람문화권이라는 이유로대개 아랍·이슬람 중심으로 설명되거나 이해되었다. 이는 ‘동일성’의 논리에따른 것으로 지역 이해에 대한 여러 왜곡 현상을 불러왔으며, 흔히 서구중심주의와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본 논문은 ‘동일성’으로 귀결되는 ‘이프리키야’ 이슬람의 시칠리아 정복 과정에서 거의 언급되지 않는 베르베르인의 역할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동일성’의 논리를 극복하고, 지역 문화와 문명 교류의다양한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
    익히 알려진 바와 같이 시칠리아는 지중해에서 기독교와 이슬람이 대결 국면을형성했던 곳이며, 중세시대 이 지역은 이슬람의 땅이기도 했다. 이슬람의 정복과정은 아글라비드 왕조를 전후하여 파티마 왕조기에 접어들며 완성되었지만, 그 과정은 순탄치가 않았다. ‘이프리키야’에서 아랍과 베르베르, 베르베르와 베르베르, 이외에도 이슬람 종파 간의 대결이 시칠리아 정복을 지지부진케 했기 때문이다. 이 와중에서 시칠리아의 이슬람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베르베르에 대한 역사적 평가는 거의 전무하다.
    본고에서는 시칠리아 이슬람화 과정에서 전개된 ‘이프리키야’의 상황과 베르베르인이 시칠리아 정복에 참여한 여러 배경 등을 살펴봄으로써 아랍 주도의이슬람화가 아닌 이슬람화한 여러 베르베르 부족 주도의 이슬람화였음을 여러문헌과 이프리키야 현지 조사 연구 내용 등을 토대로 살펴보고 있다. 이를 통해‘주변부’에 있던 베르베르인의 역할, 나아가 이들이 지중해와 아프리카 문명을어떻게 연결시켜갈 수 있었는지를 가늠해볼 수 있다.

    영어초록

    The "Maghreb" or "Ifriquiya" mentioned in this article was often described or understood mainly in the Arab and Islamic areas because it is within the Islamic culture. This is based on the logic of 'identity', and it has led to various distortions of regional understanding. It can be understood in the same context as what is commonly called Eurocentrism.
    This study aims to explore Berber's role, which is rarely mentioned in the Sicilian conquest process, and it results in 'identity'. This type of research seeks to overcome the logic of 'identity' and explore various possibilities for exchange of local culture and civilization.
    It is well known that Sicily was the site of a confrontation between Christianity and Islam in the Mediterranean, and in the Middle Ages, this area was also a land of Islam. The Islamic conquest process was completed before and after the Agrabid dynasty, entering the Fatimid dynasty, but the process was not smooth. This is because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Arabs and Berbers, Berbers and Berbers, and other Islamic sects in "Ifriquia" slowed the conquest of Sicily. In the midst of this, there is little historical assessment of Berber, who has had a profound impact on the islamization of Sicily.
    This study examines the situation of "Ifriquia" in the process of islamization in Sicily and various backgrounds of Berber's participation in the conquest of Sicily. Thus, based on a number of related literatures, surveys, and research studies, this study can examine the fact that the conquest of Sicily and islamization were led by several Berbers rather than Arabs. Through this study, we can infer the role of Berber in the "periphery" and how they were able to connect the Mediterranean and African civiliza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