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재무분석가의 발생액 구분 능력과 경영자 이익조정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Analysts’ earnings forecast efficiency and managers’ earnings management behavior)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6 최종저작일 2011.09
31P 미리보기
재무분석가의 발생액 구분 능력과 경영자 이익조정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회계학회
    · 수록지 정보 : 회계학연구 / 36권 / 3호 / 103 ~ 133페이지
    · 저자명 : 정성환, 한승수

    초록

    본 연구는 재무분석가의 재량적 발생액에 대한 분석 능력이 경영자의 이익조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재무분석가가 전기 이익의 질을 분석해 내지 못한 채 이에 기초하여 당기 이익을 예측할 경우, 이 예측행위는 비효율적이 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경영자의 입장에서 재무분석가의 예측정보는 달성 또는 초과달성해야 할 목표치이므로, 낮은 분석 능력으로 말미암아 결과적으로 과대 예측된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치는 경영자에게 이익조정의 유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경영자가 전기 이익을 상향 조정했을 때, 재무분석가가 이를 분석해 내지 못하고 전기에 보고된 이익에 고착화되어 당기 이익을 과대 예측한다면 시장의 기대를 충족시키고자 하는 경영자는 당기에도 이익 조정을 시도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재무분석가의 재량적 발생액에 대한 분석 능력의 정도가 경영자의 이익조정 행위와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며, 이러한 상관관계는 경영자가 시장의 기대를 충족시키고자 하는 동기가 강할수록 증가하리라 예측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재무분석가가 전기의 재량적 발생액을 구분해 내지 못하고 결과적으로 당기 이익을 과대 예측하였을 때 경영자의 이익조정 성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상관관계는 시장의 기대를 충족시키고자 하는 동기가 존재할 때 더욱 현저하게 나타났는데 이로써 과대 예측된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치가 경영자에게 이익조정 유인으로 작용하고 이 과정에 있어 자본시장의 압력이 매개변수로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추종 재무분석가의 수가 증가할수록 경영자의 이익조정 성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추종 재무분석가의 수가 자본시장의 관심의 정도를 대변함으로서 나타난 결과로 해석된다.
    본 연구는 재무분석가의 비효율적인 예측행위로 인해 높아진 시장의 기대가 경영자의 이익조정 성향을 높일 수 있음을 밝힘으로써 자본시장에서 재무분석가의 예측행위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재무분석가의 예측정보 유용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제도적 차원에서 공시제도의 정비와 경영자의 자발적 공시를 유도할 수 있는 정보환경의 개선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analysts’ forecast efficiency affects managers’ earnings management behavior. When analysts fail to understand the implications of discretionary accruals from prior period earnings information, forecasted current period earnings would be less efficient. Since managers have an incentive to meet or beat analysts’ forecasts, less efficient analysts’ forecasts may lead managers to involve in earnings management. If analysts are fixated on prior period earnings and issue optimistic forecasts, managers are more likely to manage current period earnings by exercising more discretion since they know analysts overestimate the persistence of discretionary accruals. We hypothesize that analysts’ inability to understand the implications of discretionary accruals is associated with earnings management behavior. Furthermore, this association is more pronounced when managers have stronger incentives to meet or beat market expectations and when investors’ demand for earnings information is greater. Using 3,222 firm-year observations on the Korea Stock Exchange for the period from 2002 to 2009, we divide our sample into four groups based on the magnitude of bias from analysts’ annual earnings forecasts and examine whether the degree of earnings management varies over the four groups. we find the following empirical evidence. First, consistent with our prediction, the result shows that managers are likely to exercise more accounting discretion when analysts do not fully understand the persistence of accruals and thus they issue optimistic forecasts. Second, this tendency is more significant when managers face higher market pressure to meet or beat analysts’ annual earnings forecasts for more than two consecutive years. In addition, we provide corroborating evidence that managers are more likely to manage earnings when the number of analysts following the firm, another proxy for market pressure, is larger. We perform several robustness checks on the data, including separate analyses for loss firms and profit firms, and find that the results are qualitatively not different. We also consider alternative explanations for our findings such as the possible substitution effect of expectation management through management earings forecasts for manipulating earnings through discretionary accruals and find that the result is largely unchanged. This paper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by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analysts’ ability to understand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discretionary accruals. When analysts do not fully understand the implications of discretionary accruals, their optimistic forecasts might provide managers incentives to satisfy market expectations by exercising more accounting discretion, especially when managers face high capital market pressures. This result implies that the improvement in the informativeness of analysts’ forecasted earnings can be achieved through systematic updates of disclosure policies and better information environment that promotes managers’ voluntary disclosures. In closing, we mention some potential caveats of the study. First, while suggestive of the link between market pressure and managers’ earnings management behavior, our findings are mainly from “ex-post” measures for managers’ reporting incentives. If we can measure managers’ “ex-ante” incentives to meet or beat analysts’ earnings forecasts, we can better understand the relation between analysts’ earnings forecasts and subsequent managers’ earnings management behaviors. Second, the documented analysts’ earnings forecasts behaviors might not necessarily be due to their inability to understand the implications of discretionary accruals. We cannot rule out the possibility that analysts are “intentionally” ignore the lower persistence of discretionary accruals. If analysts’ optimistic earnings forecasts are due to the reasons other than their inability, the interpretation of our empirical results could be different. Future research should identify the way to discern those two possibilities and provide a clearer link to managers’ earnings management behavio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