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기능 자폐장애 청소년과 아스퍼거장애 청소년의화용론적 특성: 질적·양적 연구 (Pragmatic Deficits in the Language of Adolescents with High-Functioning Autism or Asperger Disorder)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6 최종저작일 2011.03
29P 미리보기
고기능 자폐장애 청소년과 아스퍼거장애 청소년의화용론적 특성: 질적·양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 수록지 정보 : 정서·행동장애연구 / 27권 / 1호 / 21 ~ 49페이지
    · 저자명 : 서경희, 안미경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2명의 고기능 자폐장애 청소년과 4명의 아스퍼거장애 청소년을 대상으로 일반 청소년 6명과의 비교를 통해 언어의 화용론적 특성을 살펴보는 것이었다. 연구방법으로는 아동이 주어진 20개의 단어를 상대방이 맞출 수 있도록 설명하는 단어 맞추기 과제와 5장의 사진을 중심으로 아동이 교사와 대화를 나누는 유도된 대화과제를 활용하였다. 그 결과 고기능 자폐장애 청소년과 아스퍼거장애 청소년은 단어 맞추기 과제에서 비교군에 비해 정보를 제공하는 능력이 뒤졌을 뿐 아니라 질적으로 다른 특성 즉, 자신만이 알 수 있는 사실로 설명하거나, 정보를 조직하지 못하고 낱낱으로 제공하고, 맥락을 참조하지 않고 설명하는 특성을 보였다. 유도된 대화과제에서는 다양한 화용론적 어려움들을 보였는데, 대화주제를 일방적으로 자신의 관심사로 몰고 가는 경향이 있는가 하면, 말의 결속력에서 큰 어려움을 보였고, 일부 단어를 부적절하게 사용하는 경우가 있었고, 화자와 청자의 역할을 번갈아가며 취하는 것이 어려웠고, 예의가 없어 보일 수 있는 행동특성들을 보였다. 이러한 특성에 근거한 중재방안에 관한 논의와 후속연구에 대한 제안이 이루어졌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ragmatic competence in two adolescents with high-functioning autism(HFA) and four adolescents with Asperger disorder(AS) using two elicitation tasks. The first task was a kind of word quiz in which the adolescents were asked to explain 20 words and one adult should guess the word correctly. If the adult gives wrong answer, the adolescent should explain the word again. The second attempt to explain is regarded as a communication repair. Results showed relative to control group composed of 6 normal adolescents, those with FA or As were less competent in explaining words and using repair strategy. Those also showed qualitative different communicative behaviors due to a lack of theory of mind, a lack of knowledge about presupposition, and weak central coherence.
    The second task was an elicited conversation between one adolescent and one adult using five pictures. Language samples during conversation were coded for primarily the adolescents' inappropriate responses and odd speech. The results showed adolescents with HFA or AS have deficits in the management of topics, in using cohesive devices, in the use of word, in speaker-hearer role taking, and in using polite speech.
    The two elicitation tasks were useful to characterizing language use in adolescents with HFA or AS and showed some implications towards developing an effective tool to evaluate pragmatic deficits. Implications for practice and research are describ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정서·행동장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