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바즈웰(John Boswell)의 동성애 이해에 대한 비판적 고찰 (A Critical Study on Boswell's Understanding of Homosexuality)

5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6 최종저작일 2019.02
50P 미리보기
바즈웰(John Boswell)의 동성애 이해에 대한 비판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개혁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개혁신학 / 61권 / 96 ~ 145페이지
    · 저자명 : 이신열

    초록

    본 본문의 주된 목적은 바즈웰(John Boswell)의 주저인 <기독교, 사회적 관용, 그리고 동성애>라는 저서에 나타난 그의 동성애에 대한 사고를 개혁신학적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평가하는 것이다.
    바즈웰은 동성애의 정의를 다룸에 있어서 사실상 ‘동성애자’라는 단어보다는 ‘게이‘라는 단어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여주는데 그 이유로는 후자가 상대적으로 더 포괄적인 개념이라는 설명이 제공된다. 또한 그는 동성애 행위의 다양성을 지적하면서 이를 인간의 자연스러운 행위 가운데 하나로 간주하지만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가 동성애를 전적으로 자연적인 행위로 보았다는 주장은 설득력이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바즈웰은 신약 성경의 동성애 관련 본문들이 사실상 동성애 금지 조항으로 해석될 수 없다는 주장에 많은 지면을 할애했으며, 이에 많은 비평가들이 이에 대한 비판을 제공한 바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성경 본문에 대한 바즈웰의 논의 가운데 창세기 19장과 레위기 18장과 20장에 언급된 동성애를 평가하는데 집중했다. 그는 이들 본문과 동성애 금지조항은 양립될 수 없는 것으로 해석하지만 상당한 수의 구약학자들은 이 본문들에 나타난 금지된 행위들은 분명히 두 남성 사이의 동성애적 행위를 가리킨다고 지적한다.
    동성애에 대한 바즈웰의 역사적 고찰은 중세에 집중되었지만 그는 도시문화에 기초한 고대 로마사회의 동성애를 적극적으로 이상화하고 여러 고대 교부들이 이에 대한 관용적 입장을 취했다는 사실을 입증하려는 시도를 보여준다. 그러나 중세 초기에 와서 정치적 체계가 비도시화를 선호하는 가운데 고대 로마 사회에서 인정받았던 동성애 문화가 일시적으로 쇠락하게 되었다고 주장한다. 그의 논증의 핵심은 후기 중세 100년 (1050-1150) 동안 소위 ‘게이 하위문화’가 회복되면서 로마시대의 이상적 동성애적 문화가 회복되었다는 주장을 전개한다. 그러나 바즈웰이 내세운 로마사회를 도시화된 사회로, 초기 중세의 사회를 비도시화 또는 전원화된 사회로 양분하여 이해하려는 시도는 사실상 그가 지닌 로마 사회가 동성애에 대해서 포용적 태도를 지녔다는 자신의 선이해에 근거를 둔 것에 지나지 않는다.
    또한 중세 사회에서 동성애자들에 대한 처벌과 이에 관한 입법에 대한 고찰에서 바즈웰은 13세기 이전에 동성애 제재에 관한 입법화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점을 들어 사회가 전반적으로 동성애에 대해서 포용적이었다는 입장을 취한다. 또한 교회의 성직자들 사이에서 동성애가 만연했다는 사실에 대한 증거로서 여러 문헌들이 제시된다. 그러나 1150년 이후 교회s는 동성애를 공식적으로 반본성적 행위로 정죄하는 입장을 취했으며 이는 교회의 여러 공식 문헌에 의해서 분명히 확인되었다.
    후기 중세사회가 특히 약 1000년부터 1200년까지 약 200년의 기간 동안에 게이 하위문화가 꽃피고 사회가 전반적으로 이에 대해서 관용적인 입장을 취했던 사실에 대해서 바즈웰은 크게 고무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중세 전체를 놓고 볼 때, 중세사회나 교회가 동성애에 대해서 관용적 입장을 취했다는 그의 견해 보다는 오히려 사회와 교회가 동성애에 대해서 무관심 (450-1000년) 또는 불관용 (1200년 이후)의 입장을 취했다는 판단이 더욱 타당한 것으로 판단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is to critically assess, from the perspective of Reformed theology, the claims of support and tolerance toward homosexuality proposed by John Boswell in his highly acclaimed work, Christianity, Social Tolerance and Homosexuality.
    In his discussion regarding the definition of homosexuality, Boswell prefers to speak of ‘gay’ to ‘homosexual’ because the former is more inclusive than the latter. In pointing out the various kinds of homosexual activities, he proposes this activity is one of the natural behaviors of human beings. However, his claim of homosexuality being considered as natural behavior by Plato and Aristotle seems to be lacking persuasive power.
    As Boswell spent many portions of his opus magnum in arguing against the passages prohibiting homosexuality in the New Testament, many presented their critiques on Boswell’s interpretation of these texts. In this study, attention is given to the evaluation of his interpretation of the Old Testament texts such as Genesis 19, Leviticus 18 & 20. He argued against the traditional understanding on these texts affirming prohibition of homosexual behaviors. Many scholars, however, clearly pointed out these texts prohibiting homosexual behaviors between two males.
    Boswell’s historical study on homosexuality is heavily inclined toward the period of Middle ages. Yet he spent considerable pages in describing homosexual phenomena in Roman society dominated by urban culture. Under this assumption, Bowell claims that many church fathers showed tolerance toward homosexuality. However, in early Medieval period, the Empire became by large de-urbanized thus was rural. As a result, homosexual culture, flourished in ancient Roman society, was gradually declined. His main argument can be seen in his claim that for 100 years during the late Medieval period (1050-1150), gay subculture was revived. Boswell suggests this revival was a signal for revitalization of ancient Roman ideal for homosexuality. Boswell’s proposal, despite its merit, however, seems to be too schematic; it is based on the bifurcation of Roman urbanization and Medieval de-urbanization. In fact, presupposing this kind of scheme proves that Boswell had idealized homosexuality depicted in the ancient Roman society.
    In his consideration of penalization of homosexuals in the Medieval period, Boswell presumed the absence of any law penalizing the homosexuals simply meant the society in general was tolerant to homosexuality. Furthermore, he even presented many evidences showing homosexuality was widespred among clergies. However, the church had officially taken position condemning homosexuality as behavior unnatural since 1150.
    Seen from the entire period of the Middle ages, Boswell’s claim that society and church in general had taken a tolerant stance towards homosexuality cannot be validated. Instead of showing an attitude of tolerance, it seems true that society and church had shown either lack of interest (450-1000) or intolerance towards homosexua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개혁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