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미경 소설에 나타난 애도 연구 (A Study on the Mourning in Jung Mi-kyung's Novel)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6 최종저작일 2023.03
28P 미리보기
정미경 소설에 나타난 애도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어문학 / 82권 / 82호 / 357 ~ 384페이지
    · 저자명 : 최정은

    초록

    이 논문에서는 정미경 소설의 애도 양상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허위의 삶에 응대해 가는 원리에 대한 작가의 인식을 살펴보았다. 그간 애도에 관한 담론은 이른바 내사와 융합을 비교하며 축적되어 왔는데, 정미경의 애도는 기본적으로 융합에 가까운 방식을 취하고 있다. 정미경의 작중인물들이 사별 후에야 죽은 자들의 감추어져 있던 모습을 깨닫는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죽은 자들은 애도를 통해 재인식된다. 애도로써 죽은 자와 남은 자의 관계가 새롭게 맺어지며, 특히 죽은 자가 남은 자의 욕망의 대상이었을 때 이 관계는 오래 지속된다. 욕망에서 대상에 대한 허위와 환상이 생기는데, 죽음과 같은 사건은 그러한 허위를 걷어 내는 계기로 작동한다. 이러한 원리를 삶 전체에 대한 인식 과정으로 확장해 봄으로써 정미경 소설에 대한 이해에 깊이를 더할 수 있다. 실체를 왜곡할 가능성이 있는 내사 대신 융합의 방식으로 세상을 보는 것은 욕망과 허위를 젖히고 본질에 다가서려는 시도이다. 그러나 정미경은 이러한 시도가 낙관적이거나 안락한 삶으로 귀결되는 것은 아님을 분명히 한다. 정미경의 애도하는 인물들은 오히려 허위와 진실이 뒤얽힌 삶을 그저 견뎌 갈 뿐이다. 소설에서는 애도의 과정으로 비유되어 나타났지만 이는 정미경이 통찰한, 삶을 살아가는 보편적 원리이기도 하다.

    영어초록

    This study confirmed the mourning pattern present in Jung Mi-kyung's novel, and examined her perception of the principle of responding to a false life. Discussions of mourning have revolved around the concepts of introjection and incorporation. In contrast, Jung Mi-kyung's approach to mourning emphasizes the incorporation method. Jung Mi-kyung's characters come to understand the hidden appearance of the dead only after they have passed away. Mourning allows us to recognize the dead anew. Through the process of mourning, the living can form a new connection with the dead, and this connection can be especially long-lasting if the surviving individuals had a strong emotional attachment to the deceased. Desire can lead us to construct false or idealized images of the object of our desire. Yet, events such as death can serve as a catalyst for dispelling these illusions. By applying these principles to the overall process of recognizing a person's entire life, we can g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Jung Mi-kyung's novels. Rather than introjection, which can distort the truth, viewing the world through a lens of incorporation can help us approach the essence by letting go of desire and falsehood. However, Jung Mi-kyung makes it clear that these attempts do not result in an optimistic or comfortable life. The mourning characters in Jung Mi-kyung's work are depicted as enduring a life that is intertwined with both falsehood and truth. Her novel likened it to a process of mourning. And this is also a universal principle of living life, which Jung Mi-kyung gained insight int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어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