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진저요법이 화학요법을 받는 암 환자의 오심과 구토에 미치는 효과: 체계적 고찰 및 메타분석 (Efficacy of Ginger(Zingiber officinale) on Chemotherapy induced Nausea and Vomiting(CINV) in Cancer Patien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1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5 최종저작일 2021.10
13P 미리보기
진저요법이 화학요법을 받는 암 환자의 오심과 구토에 미치는 효과: 체계적 고찰 및 메타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산학기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22권 / 10호 / 644 ~ 656페이지
    · 저자명 : 남은숙, 이호연, 이미경, 박양숙, 채공주, 김두명

    초록

    본 연구는 체계적 고찰과 메타분석을 이용하여 진저요법이 화학요법을 받는 암 환자의 오심과 구토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문헌검색을 위해 CINAHL, PubMed, Cochrane, EMBASE, Web of Science, Google Scholar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였으며, 2009년부터 2018년까지 출간된 연구 396편 중 선정과 배제기준에 따라 최종 선정된 RCT 연구 8편에 대한 질 평가는 Revised Cochrane risk-of-bias tool 2(RoB 2)를 이용하였다. 메타분석은 RevMan 5.4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오심과 구토의 발생빈도는 평균승산비(Odds Ratio, OR), 강도는 표준화된 평균 차이(Standardized Mean Difference, SMD)를 산출하였다. 진저요법이 오심에 미치는 효과로 발생빈도 OR= 0.92[0.65, 1.30], 강도 SMD= -0.12[-0.59, 0.35]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하위집단 분석 결과 급성기와 지연기 모두 진저요법의 효과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진저요법이 구토에 미치는 효과로 발생빈도 OR= 0.89[0.62, 1.27], 강도 SMD= -0.45[-1.04, 0.13]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하위집단 분석에서도 급성기와 지연기 모두 진저요법의 효과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질 평가에 따라 민감성 분석 결과 고위험 연구의 효과 크기는 실제 효과에 비해 과장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저요법이 화학요법을 받는 암 환자의 오심과 구토 완화에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포함된 연구의 수가 충분치 않아 본 연구를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어 추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assess effects of ginger on nausea and vomiting in cancer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through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CINAHL, PubMed, Cochrane, EMBASE, Web of Science, and Google Scholar databases were explored. From a total of 396 studies, 8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during the period 2009 to 2018 were selected and qualitatively evaluated using the Revised Cochrane Risk-of-Bias tool 2. Assessment of the frequency and intensity of nausea and vomiting was achieved by estimating the Odds Ratio (OR) and Standardized Mean Difference (SMD), respectively, using the RevMan 5.4. No significant effect of ginger was observed for nausea (OR=0.92 [0.65, 1.30] and SMD=-0.12 [-0.59, 0.35]), and subgroup analyses also revealed no significant effect on both the frequency and intensity in acute phase and delayed phase. Results also show that ginger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vomiting (OR=0.89 [0.62, 1.27] and SMD=-0.45 [-1.04, 0.13]), neither was any significant effect determined in both the acute and delayed phase through subgroup analyses. Sensitivity analysis revealed that the effect size of high-risk studies could have resulted in overestimation. Although the current study detected no significant effect of ginger on nausea and vomiting, the results cannot be generalized due to the limited number of studies included, which needs to be addressed in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