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암의 조기발견을 위한 CT촬영에서의 임상적 효능과 방사선위해에 대한 고찰 (Review of the Radiation Risk and Clinical Efficacy Associated with Computed Tomography Cancer Screening)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5 최종저작일 2013.12
14P 미리보기
암의 조기발견을 위한 CT촬영에서의 임상적 효능과 방사선위해에 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방사선방어학회
    · 수록지 정보 : 방사선방어학회지 / 38권 / 4호 / 214 ~ 227페이지
    · 저자명 : 김현자

    초록

    MDCT의 등장과 함께 병적 증상이 없는 개인이 조기검진을 위해 CT검사를 하는 예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검사의 임상적 효용성과 방사선에 의한 암 발생위험에 대한 여러 가지 논란을 살펴보았다.
    1. 저선량흉부CT(LDCT)를 이용한 폐암의 조기 검진 효용성을 보기 위해 설계된 무작위배정대조검사(randomized controlled trial)인 NLST(National Lung Screening Trial)의 분석 결과, CT선별검사가 선별검사를 하지 않은 그룹의 사망률 1.67%를 1.33%로, 20% (p=0.004)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CT선별검사군에서 양성결과를 보인 사람의 96.4%는 위양성(false-positive)이었다. 그리고 방사선에 의한 폐암의 ERR (excess radiation risk)은 다른 고형암과는 달리 나이와 함께 감소하지 않으며, 더욱이 흡연 위험과 방사선 위험이 상승작용을 하여 폐암 검진 대상인 고위험군에게 더욱 위험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방사선에 의한 위험이 NLST에서 관측한 이득을 상쇄할 수도 있다. 아직은 최적의 전략이 확립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임상에서 광범위하게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2. 대장CT검사(CT colonography)는 10 mm보다 큰 용종의 검출에는 정확도가 뛰어나지만 이보다 작은 경우에는 민감도와 특이도가 급격히 감소하고, 용종이 발견되어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 다시 기존의 대장내시경을 이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현재 대장CT검사 1회 시행의 평균유효선량은 약 8-10 로 보고되어, 만약 이 검사가 많은 사람들을 대상으로 일상적으로 행해지면 공중보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집단검진 방법으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용종 크기 6-10 mm 범위에서 높은 민감도와 특이도를 확립하고, 하제를 사용하지 않는 방법을 개발하여야 하며, 선량을 더 감소시킬 수 있는 최적화된 전략을 세워 표준화하여야만 한다.
    3. 전신CT검사는 그 효용성이 검증된 선행연구가 없는 상태이다. 이 검사는 약 90%의 검사자들에게서 최소한 하나 이상의 이상소견을 확인하였지만 그 중 약 2%만이 임상적으로 중요한 질환으로 판명되었다. 전신CT검사 1회 시행으로 인한 평균유효선량은 약 12 이며 45세부터 75세까지 매년 검사를 받는 경우 LAR (lifetime attributable risk)이 1.9%로 보고되었다. 현재 의학계의 어떤 단체도 이 검사를 권고하고 있지 않다.
    현재까지 CT선별검사는 정당화에 대한 충분한 논의를 위해 심도 있는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며 최적화된 프로토콜이 확립된 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영어초록

    Computed tomographic scan as a screening procedures in asymptomatic individuals has seen a steady increase with the introduction of multiple-raw detector CT scanners. This report provides a brief review of the current controversy surrounding CT cancer screening, with a focus on the radiation induced cancer risks and clinical efficacy.
    1. A large study of patients at high risk of lung cancer(the National Lung Screening Trial[NLST]) showed that CT screening reduced cancer deaths by 20%(1.33% in those screened compared with 1.67% in those not screened). The rate of positive screening tests was 24.2% and 96.4% of the positive screening results in the low-dose CT group were false-positive. Radiation induced lung cancer risk was estimated the most important in screening population because ERR of radiation induced lung cancer does not show the decrease with increasing age and synergistic connection between smoking and radiation risk. Therefore, the radiation risk may be on the same order of magnitude as the benefit observed in the NLST. Optimal screening strategy remain uncertain, CT lung cancer screening is not yet ready for implementation.
    2. Computed tomographic colonography is as good as colonoscopy for detecting colon cancer and is almost as good as colonoscopy for detecting advanced adenomas, but significantly less sensitive and specific for smaller lesions and disadvantageous for subsequent therapeutic optical colonoscopy if polyps are detected. The average effective dose from CT colonography was estimated 8-10 , which could be a significant dose if administered routinely within the population over many years. CT colonography should a) achieve at least 90% sensitivity and specificity in the size category from 6 and 10 mm, b) offer non-cathartic bowl preparation and c) be optimized and standardized CT parameters if it is to be used for mass screening.
    3. There is little evidence that demonstrates, for whole-body scanning, the benefit outweighs the detriment. This test found large portion of patient(86~90.8%) had at least one abnormal finding, whereas only 2% were estimated to have clinically significant disease. Annual scans from ages 45 to 75 years would accrue an estimated lifetime cancer mortality risk of 1.9%. There is no group within the medical community that recommends whole-body CT.
    No good studies indicate the accuracy of screening CT, at this time. The benefit/risk balance for any of the commonly suggested CT screening techniques has yet to be established. These areas need further research. Therefore wild screening should be avoid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방사선방어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