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20세기 초, 한국 서화가의 존재 방식과 양상 -守巖 金有鐸을 중심으로- (The Ways and Aspects of Korean Calligraphical Painters' Existence in the Early 20th Century -Focusing on Suam Kim Yu Tak-)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5 최종저작일 2009.12
27P 미리보기
20세기 초, 한국 서화가의 존재 방식과 양상 -守巖 金有鐸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漢文學報 / 21권 / 535 ~ 561페이지
    · 저자명 : 이성혜

    초록

    이 논문은 20세기 초, 한국 서화가의 존재 방식과 양상을 규명하려는 필자 개인의 연구 프로젝트 중, 두 번째 가지연구로, 수암 김유탁의 서화활동에 대한 고찰이다. 필자는 이미 해강 김규진의 경우를 규명한 바 있다.
    서화가 김유탁은 서화가 상품으로 매매되고 유통되기 시작하자 최초의 화랑 수암서화관을 개관하고, 서화전문차일루를 개설하여 서화를 전시하고, 매매하였으며, 유통시켰다. 또 교육서화관과 서화지남소를 운영하여 대중에게 서화 교육을 실시하였다. 이와 동시에 서화전람회를 열고, 휘호회에 참여하여 서화가로서의 면모를 과시하기도 하였다.
    김유탁이 서화가로서 존재하기 위해서는 경제적 자립이 선결되어야 했는데, 이를 위해 그는 스스로 畵商이 되었다고 판단된다. 이는 김규진의 예에서도 마찬가지였다. 즉, 스스로 서화를 매매하는 화랑을 운영하는 화상이 된 것이다. 고금의 서화는 물론, 주문에 의해 자신의 작품을 제작 판매하였으며, 타인의 작품을 위탁 매매하기도 하였다.
    19세기 서화가가 주로 도화서와 같은 왕실 관청에 소속되어 각종 儀軌를 그리거나 書冊의 행간에 줄을 긋는 印札을 하거나, 건물에 丹靑을 하고 혹은 王家 및 사대부들의 초상화를 그리기도 했던 것과는 달리, 20세기 서화가들은 직접 서화작품을 공개적으로 판매하거나, 대중을 상대로 돈을 받고 서화를 가르치거나, 전람회를 열어 즉석에서 서화를 제작 판매하기도 하였다. 김유탁 역시 그 대표적인 사람들 중의 한 사람이다. 이를 통해 경제 문제를 해결하고 서화가로서 존재할 수 있었던 것이다. 마침내 자본주의 시장을 중심으로 운영되는 근대적 방식의 화랑과 자립적 서화가가 탄생하였다. 다만 김유탁의 경우, 이 과정에 창씨개명이 있었다는 것은 자립적 서화가의 한계이며, 시대의 한계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a second segment of this researcher's project whose purpose is to determine the ways and aspects of Korean calligraphical painters' existence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study focuses on Suam Kim Yu Tak's calligraphical painting activities. Meanwhile, the researcher already dealt with such activities by Haegang Kim Gyu Jin.
    Since calligraphical paintings began to be sold and distributed as goods, Kim Yu Tak opened a calligraphical painting gallery named 'Suam Seohwagan' for the first time in Korea. Then he opened ‘Chailru’ where calligraphical paintings were exhibited, sold and distributed. In addition, he ran ‘Gyoyuk Seohwagwan’ and ‘Seohwa Jinamso’ where he instructed calligraphical painting to the general public. Moreover, he held calligraphical painting exhibitions and participating in on-the-spot calligraphical painting events where he directly showed up his skills of such painting.
    To survive as calligraphical painter, Kim Yu Tak had to establish himself financially. So he became a painting dealer by his own will. This was also true for Kim Gyu Jin. As a painting dealer, Kim Yu Tak ran a gallery where he sold calligraphical paintings. Through the gallery, he traded calligraphical paintings of the ancient and modern times, customized such art works by himself and sold similar paintings by other artists on consignment.
    In the 19th century, most calligraphical painters belonged to public agencies under the control of the court like 'Dohwaseo'. They usually engaged in illustrating events of the court, drawing straight lines between words written in books, that is, 'Inchal', painting colorful patterns, or 'Dancheong' onto buildings or painting the portraits of royal family members and noblemen. Unlikely, calligraphical painters of the early 20th century sold their works openly to the public, instructed calligraphical painting to people for money or held art exhibitions where they made and sold calligraphical paintings on the spot. Representing these artists was Kim Yu Tak. He also could survive as calligraphical painter by solving his financial difficulties in such way as foresaid. More significantly, he was a calligraphical painter who supported himself by running a modern gallery under the capitalist market system for the first time in Korea. Nevertheless, however, it is difficult to say that Kim Yu Tak was a completely self-supportive calligraphical painter. But he changed full name into another Japanese name. This was a limitation that was forcedly given by the times when he liv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漢文學報”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