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암 환자의 처우개선에 관한 법·제도적 연구 (A Legal and Institutional Study on the Treatment Improvement in Cancer Patients)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5 최종저작일 2021.08
19P 미리보기
암 환자의 처우개선에 관한 법·제도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토지공법학회
    · 수록지 정보 : 토지공법연구 / 95권 / 179 ~ 197페이지
    · 저자명 : 선은애

    초록

    2020년 12월 24일 발표된 2017년 국가암등록통계 보건복지부·중앙암등록본부, “암 진단 후 5년 초과 생존자 100만 명 넘었다”, 2019, 12, 24일자 보도자료.
    에 따르면 암 유병자 187만 명(전 국민의 3.6%)이며, 암발생률은 인구 10만 명 당 연령표준화발생률(이하 발생률)은 282.8명으로 전년 대비 6.6명(2.3%) 감소하였다. 이러한 암 발생률은 1999년 이후 2011년까지 연평균 3.7%씩 증가하다가, 2011년 이후 매년 약 2.6%씩 감소하고 있다.
    우리나라 국민들이 기대수명(83세)까지 생존할 경우 암에 걸릴 확률은 37.4%였으며 남자(80세)는 5명 중 2명(39.8%), 여자(86세)는 3명 중 1명(34.2%)에서 암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국가암정보센터(https://www.cancer.go.kr/)- 암 발생율(검색일자: 2021. 7. 14.) 이러한 추세를 본다면 암은 결코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적인 문제로 인식되어야 하며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발 빠른 대처가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이에 대해 국가에서는 「암관리법」을 규정하여 국가가 암의 예방과 진료 및 연구 등에 관한 정책을 종합적으로 수립ㆍ시행하고 있고 「호스피스ㆍ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률」에 있어서 호스피스 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대상자 중 암 환자를 대상으로 함으로서 암 환자의 연명의료결절에 있어서의 권리를 규정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 암 환자의 처우를 개선하기 위한 입법적 도입이나 효율성 있는 정책은 한계점이 있다.
    향후 암 환자의 증가가 명백히 예상되는 바, 처우를 개선하기 위한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관리가 더욱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암 환자를 우리 사회에서 더욱 보호해야 될 대상인 사회적 약자로 인식하고, 암 환자의 처우개선을 위한 법적 근거를 바탕으로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책무를 명시하고 암 환자 처우에 있어서 「암관리법」의 법률 정비를 통해 암 환자의 권리를 명시하여 처우개선에 있어서 근거 법률을 규정하여야 하며 현재 「암환자에 대한 의료비 지원기준 등에 관한 고시」의 암 환자의 재정적 지원에 관한 규정을 법률로서 명시하고 암환자를 사회적 약자로 규정하여 그에 대한 생계지원도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암 환자 상담 및 관리를 위한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에서 전문인력의 확충을 통해 다양한 복지처우를 제공하여야 하며 암 환자의 심리 치료 지원을 적극적으로 지원함으로서 암 환자의 처우 개선이 증대되며 향후 증가하는 암 환자를 관리함으로서 생존율을 높여 암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가져오게 될 것이다.

    영어초록

    According to the National Cancer Registration Statistics for 2017 of having been announced on December 24, 2020, the patients with the presence of cancer stood at 1,870,000 people(3.6% of the whole nation). In terms of the cancer incidence rate, the age-standardized incidence rate per 100,000 people came to 282.8 people, thereby having been down by 6.6 people(2.3%) year on year. This cancer incidence rate grew by 3.7% until 2011 following 1999 and then is reducing by about 2.6% every year after 2011. If our people would survive to life expectancy(83 years old), the probability of getting cancer amounted to 37.4%. Cancer is being estimated to occur in 2 people(39.8%) out of 5 people as for a male(80 years old) and in 1 person(34.2%) among 3 people as to a female(86 years old). Seeing this trend, cancer need to be recognized as a social issue, not an individual matter, and will be able to be considered to require the quick response from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s.
    With regard to this, the country stipulated 「Cancer Control Act」 and then is comprehensively establishing and implementing a policy pertinent to the prevention, treatment and research of cancer. In 「Hospice, Palliative Care, and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Making Act」, it is targeting cancer patients among the patient subjects in the hospice palliative care and end-of-life process, thereby prescribing a right in the cancer patients’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 But there is a limitation in legislative introduction or effective policy for substantially upgrading cancer patients’ treatment.
    A rise in cancer patients is definitely expected henceforth. Thus, the management of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to improve treatment can be mentioned to be more needed. 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enact the responsibilities of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s based on the legal basis for enhancing the treatment of cancer patients while regarding cancer patients as the socially disadvantaged who will need to be further protected in our society. Hence, concerning the treatment of cancer patients, there is a need to make it a grounded law in the treatment improvement by specifying the rights of cancer patients through the maintenance of the law in 「Cancer Control Act」. In the current 「Notice of the medical expenses support standard, etc. for cancer patients」, there is a need to clearly state the regulations on a financial support for cancer patients in a law and to define cancer patients as the socially disadvantaged, thereby being necessarily made even the livelihood support for it together. Additionally for the cancer patient counseling and management,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s should provide a variety of the welfare treatments through the expansion of the professional workforce. A positive support for psychotherapy of cancer patients leads to increasing the treatment improvement in cancer patients. Managing cancer patients who grow down the road leads to a rise in survival rate, thereby likely coming to bring about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in cancer pati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토지공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