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여성 유방암 경험자의 식사섭취실태 (Dietary Intake Status among Korean Female Breast Cancer Survivors)

1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5 최종저작일 2014.04
13P 미리보기
한국 여성 유방암 경험자의 식사섭취실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19권 / 2호 / 163 ~ 175페이지
    · 저자명 : 박명숙, 황은경, 문형곤, 노동영, 이정은

    초록

    본 연구에서는 수술 후 기간이 최소 6개월 이상인 침습성유방암 경험자를 대상으로 영양소와 식품군 섭취 상태를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총 127명의 대상자가 분석에 포함되었고,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127명의 유방암 경험자들 중에서 74%에 해당하는 94 명의 여성이 유방암 진단 이후에 식사섭취를 변화시켰고, 그중에서 약 90%는 진단 이전에 비하여 더 건강식으로 먹고있다고 대답하여 유방암 경험자들이 건강한 방향으로 식생활을 변화시켰음을 알 수 있었다.
    2. 유방암 경험자들의 연령대에 따라 영양소 및 식품군의섭취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다르지 않았다. 수술 후 기간이긴 유방암 경험자는 짧은 기간을 가진 경험자에 비해 총 열량, 베타카로틴, 엽산, 비타민 C, 식물성 철분의 섭취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적었고, 식품군에서는 과일류의 섭취가더 적은 경향을 보였다. 암 병기가 높은 유방암 경험자의 두류 섭취가 유의하게 낮았다.
    3. 유방암 경험자는 1일 평균 약 1,800 kcal를 섭취하고있었고, 64: 16: 20의 비율로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을 섭취하였다. 암에 대한 병력이 없는 유사한 연령대의 국민건강영양조사 대상자들의 식사 섭취 상태와 비교한 결과, 영양소섭취에 있어서 유방암 경험자들이 대부분의 열량영양소, 비타민 및 무기질을 유의하게 더 많이 먹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군 섭취를 비교한 결과, 유방암 경험자가 국민건강영양조사 대상자에 비해 두류, 견과류, 채소류, 어패류를 더 많이먹는 것으로 나타나 유방암 경험자가 건강한 식사 패턴에 대한 순응도가 더 높은 것으로 보여진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유방암 경험자는 진단 이후 유방암의 예후와 생존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지는 식생활을변화시켰으며, 체중에도 변화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유방암 경험자는 일반 한국 여성을 대표하는 표본인 국민건강영양조사 대상자들과 비교하여 모든 열량 영양소와 비타민 및 무기질 섭취가 더 많은 것을 알 수 있었고, 식품군 섭취에도 차이를 보여 더 건강한 식사패턴을 따르고 있다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또한 수술 후 기간, 암 병기와 같은특성에 따라 식사 섭취 상태가 다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본 연구의 결과를 고려하여 유방암 경험자들을 대상으로 삶의 질과 생존예후를 개선할 수 있는 식사구성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한 연구들이 추가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와 추후 유방암 경험자의 식생활 연구 결과들을 토대로 한국인 유방암 경험자들을 위한 한국형 식사지침이 마련되어, 체계적인 영양교육이 활발히 이루어진다면, 유방암 경험자의 건강증진 및 삶의 질 향상을 가져올 것으로 사료된다.

    영어초록

    Objectives: To evaluate the critical environmental factors on healthy-aging of Korean people, we investigated th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health status of septuagenarians living in rural area of Jeonla province, known to be one of the representative longevity regions in Korea.
    Methods: We divided subjects into healthy group (36M/25F) or poor-health group (26M/73F) based on self-reported health status, body mass index, a number of prescription, and blood test data. General characteristics, physical measurements, lifestyle, dietary behavior and nutrient intake, physical health and mental health data were statistically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Average age was not different between healthy group and poor-health group in men and women, respectively. In men, significantly favorable factors to health were observed to be higher education, regular exercise, higher grip strength and walking function, body mass index (≥ 18.5 kg/m2), moderate frequency of drinking and eating-out, non-smoking, normal red blood cell (RBC) count, higher serum dehydroepiandrosteronesulfate (DHEAS) level, good digestive function and appetite, normal hearing function, regular meals, adequate vegetable and fruit intake, diverse food intake, adequate energy and nutrients (protein, vitamin B1, B6, C and E, folate, niacin, P, Zn and K) intake, higher mininutrient status assessment (MNA) score and low level of depression. On the other hand, in women, those were literacy, living arrangement, moderate frequency of drinking, healthy teeth, higher grip strength and walking function, bone mineral density, normal RBC and white blood cell (WBC) count, higher DHEAS concentration, higher MNA score, normal cognition and memory function, having snack and adequate fruit intake.
    Conclusions: These results could be useful to plan effective strategies to increase health-life expectancy of Korean old people living in rural area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