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石窟庵 造營 배경과 본존불상 도상의 화엄교의적 해석 (Background of the Construction of Seokguram(石窟庵) and the Interpretation of the Primary Buddha Statue Image Based on the Doctrinal of Hwaeom)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5 최종저작일 2019.10
26P 미리보기
石窟庵 造營 배경과 본존불상 도상의 화엄교의적 해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불교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불교미술사학 / 28권 / 195 ~ 220페이지
    · 저자명 : 서지민

    초록

    경주 토함산 석굴암 불상군은 동아시아 불교미술에서도 최고의 걸작으로 손꼽힐 만큼 우리나라 불교조각사의 위상을 대변하는 뛰어난 문화유산이다.
    이 논문에서는 먼저 그 동안 선학들이 석굴암 불상군에 대해서 다각적으로 논의하는 과정에서 합의된 결론을 도출하지 못한 석굴암 조영 기간, 주체, 목적, 주석한 인물 등의 역사적인 배경에 대한 몇 가지 쟁점들을 재검토하고, 더 나아가 당시 불교계를 주도하던 의상계 화엄종의 사상이 석굴암을 조영하는데 있어 지대한 영향을 끼쳤음을 파악하였다.
    다음 석굴암 불상군의 핵심을 이루는 본존불상, 그리고 본존불상과 삼위일체의 도상체계를 이루고 있는 십일면관음보살상, 문수보살상, 보현보살상 간의 관계와 배치를 의상계 화엄종의 화엄불신론에 입각하여 화엄교의적인 관점으로 해석하고 불교사적인 추이와 맥락 속에서 파악함으로써 그 신앙적 의미와 성격에 대해서 새롭게 이해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석굴암 본존불상은 석가모니불, 아미타불, 비로자나불의 성격을 모두 圓融하고 있는 화엄법신불임을 밝혔다. 이러한 華嚴一乘의 존격을 主尊으로 신앙하는 것은 신라 의상계 화엄종의 독자적인 교의체 계에 따른 것으로서 같은 시기 주변 국가들에서 신앙된 화엄법신불과는 도상과 성격 면에서 차별된다는 사실은 특기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서 석굴 암의 중요성과 위상을 재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어초록

    The Buddha statue group in Seokguram in Tohamsan(mountain) in Gyeongju is an outstanding cultural heritage that represents the status of the history of Buddhist sculptures of Korea to the extent that it is referred to as the best masterpiece in East Asian Buddhist art.
    In this paper, while reviewing several issues regarding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Seokguram such as the period of construction, the main constructor, the purpose of construction, and those Buddhist monks who lived there, for which previous scholars could not come to a consensus in the process of multilateral discussions about the Seokguram Buddha statue group thus far, it was identified that the idea of Uisang's View of Hwaeom School, which was leading the the Buddhist circle at the time, had a great effect on the construction of Seokguram.
    Thereaft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imary Buddha statue that constitutes the core of the Seokguram Buddha statue group and the Elevenheaded Avalokitesvara Bodhisattva image, the Manjusri Bodhisattva image, and the Samantabhadra Bodhisattva image that form a special image system with the primary Buddha statue and the arrangements of the foregoing were interpreted with the viewpoint of the doctrinal of Hwaeom and grasped in the trend and context of Buddhist history with a view to newly understanding the religious meaning and nature of the foregoing.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Seokguram primary Buddha statue is a Dharmakaya Buddha image that completely combines all the natures of the Shakyamuni Buddha image, the Amitabdha Buddha images, and the Vairocana Buddha image. The belief in the dignity of the One Vehicle Thoughts of Hwaeom as a master is surrounding countries in the same period of time. It is expected that through the above discussion, the importance and status of Seokguram can be reconfirm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미술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