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그림도안을 활용한 노인성 질환을 앓는 노인의 우울과 의사소통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Art Therapy Using Pictorial Design to Improve the Depression and Communication in an Elderly Person with Geriatric Disease)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5 최종저작일 2020.06
25P 미리보기
그림도안을 활용한 노인성 질환을 앓는 노인의 우울과 의사소통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치료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치료연구 / 27권 / 3호 / 533 ~ 557페이지
    · 저자명 : 박은정, 이은주

    초록

    본 연구는 노인성 질환을 앓는 노인을 대상으로 그림도안을 활용한 미술치료가 노인의 우울과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자는 K시에 거주하는 78세의 남성으로 2017년 10월부터 12월까지 40분씩 주1회, 2018년 1월부터 4월까지 주2회 총 44회기에 걸쳐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대상자의 우울과 의사소통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한국형 노인 우울 검사, 의사소통 검사, 이야기 그림 검사를 사전․사후․추후에 실시하여 우울과 의사소통에 대한 변화를 비교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울 검사의 전체 점수가 전반적으로 감소하여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둘째, 의사소통 검사의 전체 점수가 향상되어 그림도안을 활용한 미술치료가 대상자에게 긍정적인 매개체가 되었음을 보여주었다. 셋째, 미술치료 회기별 진행과정에서 대상자는 초기에 습관적인 자기비하와 회피적인 태도를 보였지만 다양한 의사소통의 경험과, 치료자와의 긍정적 교류를 통해 자기표현이 늘어났으며 타인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배려하는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또한 현재의 자신의 모습을 받아들이고 자신의 가치를 찾는 모습에서 긍정적 자기상을 가지게 됨을 보여 주었다. 본 연구는 노인성 질환을 앓는 노인을 대상으로 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에서 그림도안이라는 매개체의 활용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rt therapy using pictorial-design on the depression and communication of an elderly person with a geriatric disease. The subject in this study was a 78-year-old man who resided in A city. A program was conducted in 40-minute sessions, once a week from October 2017 to December 2017, and twice a week from January 2018 to April 2018, for a total of 44 sessions. In order to find out any possible changes in the depression and communication of the subject, the Korean Form of the Geriatric Depression Scale, the Interpersonal Communication Inventory and Draw-a-Story were used in a pretest, a posttest and a retention test to compare and analyze the changes in depression and communication.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positive change as the total score decreased on the depression test overall. Second, the pictorial-design art therapy served as a positive medium for the subject as the total score increased on the communication test. Third, the subject habitually abased himself and initially took an avoidant attitude during the art therapy sessions, but he came to express himself more by gaining various communication experiences and by positively communicating with the therapist. He showed another positive change by becoming considerate of others and showing interest in them. Also, he built a positive self-image as he accepted himself as he was and tried to find value in himself. This study presented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medium of drawing in art therapy for the elderly suffering from geriatric diseas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