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자기증으로 출생한 자와 관련한 민사적 쟁점- 정자기증으로 출생한 자의 신의칙에 근거한 알권리의 인정여부를 중심으로 - (Birth of child through sperm donation and civil legal issue)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5 최종저작일 2018.02
27P 미리보기
정자기증으로 출생한 자와 관련한 민사적 쟁점- 정자기증으로 출생한 자의 신의칙에 근거한 알권리의 인정여부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재산법학회
    · 수록지 정보 : 재산법연구 / 34권 / 4호 / 193 ~ 219페이지
    · 저자명 : 윤석찬

    초록

    우리나라에서는 정자기증이 음성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고, 기증받은 정자로 태어난 아이가 자신의 출생과 관련한 정자기증자의 신원 등에 관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정리되어 있다고 기대하기도 힘들다. 그러나 우리사회의 노령화, 특히 가임여성의 노령화 등으로 점차 인공수정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특히 환경호르몬의 영향 등으로 남편의 정자로 더 이상 아이를 가질 수 없는 가정도 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에서는 그 불임부부가 아이를 가지려면 남편이 아닌 타인의 정자를 기증받아 인공수정을 통하여 아이를 갖게 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우리 사회에서도 점차 미국과 같은 선진국에서의 공공정자은행의 설립이 요구되고 그로 태어난 정자기증자로 태어난 인공수정자에 대한 법리적 구성도 강구되어야 한다.


    공공정자은행을 통하여 국가주도의 공적관리와 국가예산이 배정되어 보다 저렴한 불임시술비가 담보됨으로 인하여 불법적인 정자매매의 거래를 막고 출산율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배아생성 의료기관도 합법적 경로를 통한 정자의 확보 등을 통하여 정상적인 정자은행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저출산 문제는 우리나라의 심각한 사회적 문제이다. 저출산 문제를 영아유에 대한 입양이라는 측면에서도 해결할 수도 있고, 나아가 근본적인 출생의 시점으로 돌아가서 공공정자은행의 설립과 운영 그리고 대리모계약의 예외적 허용은 인정되어야 한다. 그리하여 이제는 미국, 일본, 중국 등과 같은 세계적 추세에 맞추어 정자를 국가자원으로 관리해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국가주도의 공공정자은행의 설립이 지체되고 있던 중 이미 케미메디 관계사인 바이오숲이 국내 최초 민간정자은행을 설립했다. 이러한 민간정자은행은 향후 저출산 고령화 추세에 따른 불임 및 난임치료시장이 크게 성장할 것을 예상하면서 설립된 것이다. 미국의 경우에는 650개 이상의 민간정자은행이 운영되고 있으며, 중국, 영국 등도 정자은행시장이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아울러 정자은행에서 정자기증자의 정자에 의해서 출생하게 된 자는 차후에 성장하여 정자기증자에 관한 정보공개를 청구할 경우도 비일비재 할 것이다. 이러한 상황은 정자기증자의 프라이버시권과 정자기증으로 출생한 자의 정보공개청구권의 충돌이 일어나는 상황이다. 이때에는 정자기증자의 입장에서는 결코 자신의 개인정보가 알려지는 것을 거부한 것으로서 자신의 개인정보에 관한 비밀유지의무를 사전에 정자제공계약을 통하여 정자은행측에 이미 부과한 것이다.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큰 독일법원의 판단을 보면 독일 민법 제242조의 신의칙 원칙으로부터 정자기증으로 출생한 자의 정보제공청구권이 우선적으로 고려된다는 것이다. 물론 그렇기 위해서는 당사자들 사이에 존재하는 법적 관계로서 첫째, 권리주장자의 입장에서는 자신의 권리의 존재 혹은 자신의 권리의 범위에 관하여 불확실한 상태이어야 하고, 둘째, 의무자의 입장에서는 이러한 불확실성의 제거를 위하여 요구되는 정보제공을 어렵지 않게 이행할 수 있는 상태이어야 한다는 두 가지 요건이 요구된 것이다. 향후 우리 법원도 이러한 판결취지를 보다 면밀히 이해하고 분석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In Korea, sperm donation is a negative phenomenon, and it is difficult to expect that a child born with donated sperm is systematically organized with information on the identity of sperm donors related to his or her birth. However, the demand for artificial insemination has been gradually increasing due to the aging of our society, especially the aging of women who are pregnant. Especially, the number of families whose husbands can not have children due to environmental hormones is increasing.




    Therefore, in such a situation, in order to have a child, the infertile couple has to donate the sperm of a non-husband and have a child through artificial insemination. Therefore, in our society, the establishment of public sperm bank in advanced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is required, and a statutory structure for the artificial modifier born as a sperm donor should also be established.




    The problem of low fertility is a serious social problem in Korea. The problem of low fertility can be solved in terms of adoption for infants, and furthermore, returning to the point of fundamental birth,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public sperm banks and the exceptional permission of surrogate mother contracts should be recognized. Therefore, sperms should be managed as national resources according to the global trends such as the US, Japan, and China. In Korea, while the establishment of state-run public sperm bank was delayed, Bio Forest, a company affiliated with Chemi Medi, established the first private sperm bank in Korea.
    These private sperm banks were established in anticipation of a significant growth in the infertility and infertility treatment market due to the trend of low fertility and aging. In the United States, more than 650 private sperm banks are operating, and the sperm banking market is also growing in China and the United Kingdom. Especially in the United States, the donor's anonymous sperm is sold at US $ 690, while the unnamed sperm is sold at US $ 890. The establishment of the public sperm bank should be more actively supported and promoted than the growth of the private sperm bank on the premise of commercia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재산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5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