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우리는 노년층의 스마트폰 이용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는가?: 노년층 내에서의 디지털 격차 결정요인 (How much do we know about the use of smartphones in the silver generation?: Determinants of the digital divide within the silver generation)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5 최종저작일 2020.12
32P 미리보기
우리는 노년층의 스마트폰 이용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는가?: 노년층 내에서의 디지털 격차 결정요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정보사회학회
    · 수록지 정보 : 정보사회와 미디어 / 21권 / 3호 / 33 ~ 64페이지
    · 저자명 : 김지현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노년층을 대상으로 집단을 세분화시켜 그들의 미디어 이용, 구체적으로는 스마트폰과 같은 디지털 기기 활용 현황을 체계적으로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의 ‘2019 한국미디어패널조사’ 데이터를 활용해 3가지의 주된 질문에 답하고자 했다. 첫째, 노년층은 스마트폰을 디지털 기기로 활용하고 있는가, 그것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가? 둘째, 노년층은 스마트폰으로 무엇을 하는가?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목적은 무엇이며, 얼마나 다양하게 활용하는가? 셋째, 노년층 내 스마트폰 이용역량과 그것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가? 디지털 격차 결정요인은 크게 인구통계학적 변수와 관계적 변수로 나누어 분석했다. 분석 결과, 성별, 학력, 소득, 직업의 유무, 거주지역과 같은 인구통계학적 특성뿐만 아니라 배우자의 유무, 가족 구성원의 형태와 같은 사회적 관계망 역시 노년층의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이용 경험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노년층 내에서도 연령대별로 스마트폰을 다양하게 활용하는 정도에 차이를 보였으며, 인구통계학적 특성 전반과 사회적 관계망 중 가족 구성원의 형태에 따라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목적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 여부/배우자의 유무 등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마지막으로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노년층의 스마트폰 이용역량에도 영향을 주었으며, 사회적 관계망과 스마트폰의 이용목적에 따라서도 노년층의 스마트폰 이용 역량에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해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 속에서 1) 노년층에게 의미있는 자원(source)으로써의 스마트폰의 역할을 탐구하려는 연구자들에게 기초자료를 제시하고, 2) 노년층 내 디지털디바이드(digital divide) 문제에 대한 정책적 방향성을 제공하고자 했다.

    영어초록

    “Aging” and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are words that re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society. South Korea, a powerhouse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progressed rapidly in aging and in 1999 it has already become an aging society. The fact that the baby boom generation, who has been in social life in the 1990s and 2000s when the Internet was rapidly developed, is flowing into the elderly from 2020, suggests that an academic approach to the elderly needs to pay attention to the divergence within the elderly. However, media studies so far have been stingy at attempting to subdivide the group by excluding the elderly aged 60 or older from the target of analysis or by assuming it as a single group and analyzing it. It would be too wasteful to repeat the mechanical analysis after setting the group that has flowed into the elderly and the baby boomers as one group without having enough access to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such as the Internet. This study aims to systematically examine the state of the elderly's use of media, specifically the use of digital devices such as smartphones, while redefining the elderly as active members of society. The current study will try to understand the determinants of the digital divide that is taking place within the elderly by analyzing smarphone use.
    Based on it, this study attempted to answer three main questions. First, what are the factors that affect whether the elderly use smartphone applications(excluding simple phone calls and text messages)? Second, what do older people do with their smartphones? What are the differences within the elderly? Third, how is the ability to use smartphones among the elderly? What are the factors that influence it? For the analysis, the 'Korea Media Panel Survey' of the Korea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KISDI) was used as secondary data. The determinants of digital disparity were largely divided into demographic variables and relational variabl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not onl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education, income, and occupation, but also social network such as the presence of a spouse and the type of family members living together also influence the experience of using smartphone applications in the elderly. In addition,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degree of various use of smartphones by age group even within the elderly, and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types of smartphone applications mainly used according to the overal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cluding gender, education, income, jod) and the type of family members among the social network(family type). There was no difference according to marital status. And in order to see how variously the smartphone is used, we analyzed how many applications are mainly used. Even among the elderly, the younger the age, the more diversely using smartphones as digital devices, specifically, there was a difference of about twice as much in the degree of various applications in their 60s and 80s. Lastl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fluenced the smartphone use capability of the elderly, and there was a difference in smartphone use capability of the elderly according to the social network and the motivation of using the smartphone.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intended 1) to present basic data to researchers who want to explore the role of smartphones as a meaningful resource for the elderly in a rapidly changing society, and 2) to provide a policy direction for the problem of digital divide within the elder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5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