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고(思考)에 대한 붓다와 알버트 엘리스(Albert Ellis)의 견해 (The Buddha's and Albert Ellis' View of Thinking)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4 최종저작일 2012.08
27P 미리보기
사고(思考)에 대한 붓다와 알버트 엘리스(Albert Ellis)의 견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도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인도철학 / 35호 / 191 ~ 217페이지
    · 저자명 : 안양규

    초록

    인간의 고통이라는 정서 문제의 근본원인을 인지적인 관점에서 해결하려고 한 점에서 붓다와 엘리스는 공통 기반을 공유하고 있다. 붓다는 욕심의 생각[欲念], 성냄의 생각[恚念], 해침의 생각[害念]은 불선법(不善法)의 근본 원인으로 자신에게도 타인에게도 유해한 결과를 초래하며 지혜를 소멸시켜 열반을 성취하지 못하게 한다고 관찰하고 있다. 불선한 생각이 가져오는 단점은 두 단계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첫 번째 단계는 자신과 남에게 해로움을 입힌다는 것으로 이는 세속적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두 번째 단계는 지혜를 소멸시켜 불교의 궁극적인 목표인 열반에 이르게 하지 못한다는 것으로, 이는 초세간적인 것으로 분류할 수 있다. 첫 번째 단계에서 엘리스의 치료 이론 체계와 비교 논의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엘리스의 REBT는 일상적인 생활에서 발생하는 정서문제를 다루는 것으로 붓다의 가르침 중 세간적인 것에 관한 가르침과 비교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Buddha classifies thoughts(vitakka) into two categories: wholesome thoughts; unwholesome thoughts. He sees the unwholesome thoughts as causes of sufferings for oneself and others as well. Albert Ellis(1913-2007), an American psychologist analyes irrational beliefs as a source of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Both the Buddha and Ellis agree to conclude that negative thinking plays a big role in sufferings.
    In the Dvedhavitakka Sutta(MN 19), the Buddha talks about 2 kinds of thoughts: thoughts of sensuality, thoughts of ill will, thoughts of harm; thoughts of non-sensuality, thoughts of non-ill will, thoughts of non-harm. The former leads to one's own affliction or to the affliction of others or to the affliction of both. It obstructs discernment, promotes vexation, & does not lead to nibbana. The latter leads neither to your own affliction, nor to the affliction of others, nor to the affliction of both. It fosters discernment, promotes lack of vexation, & leads to nibbana. How good the latter may be, if you keep thinking of it, it may exhaust you. When the latter thoughts are thought and discursively thought too long, the body gets exhausted. When the body is exhausted, the mind is disturbed, the disturbed mind is far from concentration. In order to enter the higher jhana, one must have thought(vitakka) removed. Overcoming thoughts, the mind internally appeased, in one point, without thoughts, experiencing joy and pleasantness born of concentration one can abode in the second jhāna.
    Albert Ellis, who became disenchanted with psychoanalysis and, strongly influenced by the Stoic philosophers of ancient Greece, formed "Rational Emotive Behavioral Therapy". He identified a number of dys-functional beliefs that people often hold. Harmful emotions and dys-functional behaviors are the product of irrational thinking. Ellis believed that many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were largely the result of irrational beliefs. His therapeutic approach emphasizes helping people to become more aware of irrational beliefs. Ellis held that beliefs are irrational if they: (1) distort reality, (2) contain illogical ways of evaluating oneself, others, and the world, and/or (3) create extreme emotions and block a person from achieving their goals.
    The Buddha regards the unwholesome thought as a cause of suffering while Ellis sees irrational beliefs as causes of emotional problems. The Buddha's idea of the unwholesome thoughts is wider and deeper than Ellis' irrational beliefs, which contains the demand of "must". The unwholesome thought includes irrational beliefs, the kind of attachment to wrong views in Buddh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도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