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기지 않아도 재미있다 : 부모-자녀 게임 플레이의 사회성과 행위성, 그리고 분투형 플레이 (It’s Not About Winning : Sociality and Behavioral Patterns of Parent-Child Co-Play and a Competitive Game)

4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4 최종저작일 2023.12
45P 미리보기
이기지 않아도 재미있다 : 부모-자녀 게임 플레이의 사회성과 행위성, 그리고 분투형 플레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언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언론학보 / 67권 / 6호 / 42 ~ 86페이지
    · 저자명 : 강신규

    초록

    이 글은 부모-자녀가 함께 플레이하는 행위가 다른 사회집단 구성원(들)과 함께 하는 행위와는 다르게 이뤄진다는 데 주목하고, 그것이 왜 시작되고, 어떤 양상을 띠며, 부모-자녀에게 어떻게 받아들여지는지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기존 논의들이 부모-자녀 게임 플레이 자체를 분석하기에 적절하지 않거나 제한적임을 지적하고, 새로운 분석틀(사회적 플레이, 행위성)을 차용한다. 그리고 5쌍의 부모-자녀 플레이어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한다. 인터뷰를 주된 연구방법으로 사용하면서도 콘텍스트적 연구를 지향함으로써, 수용에 중점을 두되 부모-자녀 게임 플레이의 안과 밖을 함께 살피려 한다. 연구결과 논의에 있어서는 사회적 플레이와 행위성 개념을 동원하되, 보다 입체적인 분석을 위해 여러 학자들에 의해 고안된 개념들, 그리고 다른 자료들을 통해 제시된 관련논의도 함께 활용한다. 이를 통해 부모-자녀의 게임 플레이가 보이는 여러 양상들을 드러내고, 부모-자녀가 어쩌다 게임세계로 함께 진입하게 되는지, 플레이 과정이 부모-자녀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혼자 하거나 다른 사회집단 구성원(들)과 함께 하는 플레이와는 무엇이 다른지, 플레이어로서 부모-자녀는 서로를 어떻게 이해하고 받아들이는지 짚어본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앞선 과정들을 토대로 부모-자녀 게임 플레이가 갖는 의미를 종합적으로 논의한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mphasizes that the co-playing of parents-children is distinct from that of other social group members, and strives to clarify why it begins, what structure it takes, and how it is accepted by parents-children.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ive, this study points out that current discourses are inadequate or restricted when it comes to examining the dynamics of parent-child game play. Therefore, a novel analytical framework that focuses on social play and agency was proposed. Additionally, interviews with five sets of parent-child players were conducted. Employing interviews as the primary study methodology and striving for contextual investigation, this study endeavors to examine both the internal and external aspects of parent-child game play simultaneously. The study incorporates concepts developed by different scholars and explore similar issues offered in other sources to conduct a more comprehensive analysis. This study explores different facets of parent-child gameplay, investigating the ways in which parents and children engage in the game world together, how the act of playing influences their relationship, how it differs from playing alone or with other members of social groups, and how parents and children perceive and embrace each other as players. Finally, based on the previous processes, the meaning of parent-child game play is comprehensively discussed. The primary discoveries are as follows. First, parents and children, who share a deep bond outside of the game, temporarily detach from their current connection while engaging in the game together and establish a fresh relationship. As various forms of communication take place intricately during the process, the two entities establish a relationship characterized by fluid movement between the inside and external boundaries of the magic circle. The game play occurs within a social framework that assigns new meanings to acts, and this framework alters the significance of actions within the game. Second, plays that focus on accomplishments are frequently enacted by parents and their children. However, the appearance of the element may vary depending on whether the competition is structured as a system or between individuals. In the case of parent-child players, rivalry or cooperation with other players serves as a mechanism to achieve victory in the system. The family community structure plays a role in intervening in play to some extent. In the latter scenario, achieving victory over an adversary is a fundamental objective, there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effectiveness or potentially rendering ineffective the family community system. Cooperative play is more commonly observed in parent-child interactions than achievement-oriented play. The parent-child play enables participants to establish their own objectives independently of competing with one another, obligatory objectives, and introduces adaptability to the existing gameplay. By engaging in cooperative play, parents and children assume increasingly prominent roles. Most importantly, parent-child play fosters an environment that facilitates the occurrence of ambitious play. In scenarios involving numerous parents and children, the primary objective of play is the act of playing itself. The goals and outcomes designated by the system lose their significance, and the emphasis shifts towards goals that may have been trivial initial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언론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