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강간 피해자의 원하지 않은 임신도 상해인가? - 한국과 미국 판례의 비교법적 고찰 - (Is Undesired Pregnancy from Rape Considered Bodily Injury? - A Comparative Legal Study of Cases in Korea and the US)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4 최종저작일 2024.04
27P 미리보기
강간 피해자의 원하지 않은 임신도 상해인가? - 한국과 미국 판례의 비교법적 고찰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법학논총 / 31권 / 1호 / 293 ~ 319페이지
    · 저자명 : 김종구, 임원식

    초록

    근래 대법원에서 의붓아버지인 피고인이 11세인 의붓딸을 성폭행하여 임신에 이르게 한 사건과 피고인이 자신의 집에서 술에 취해 잠들어 있는 아내의 친구를 성폭행하여 임신에 이르게 한 사건에서 피해자의 임신이 상해에 해당하는지가 논란이 되었다.
    검사는 원하지 않은 임신을 상해로 보아 이들 사건에서 피고인을 강간치상죄와 준강간치상죄로 기소하였으나, 대법원은 원하지 않은 임신이 상해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하여, 강간죄와 준강간죄만 인정하였다. 학계에서는 강간으로 인한 임신을 상해로 보아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으나, 아직 국내에서 논의는 부족한 상황이다.
    미국의 판례 중에도, 의붓아버지가 13살 난 의붓딸을 수개월 동안 성폭행하여 임신에 이르게 한 후 임신중절하게 한 사건 등 다수의 의제강간(statutory rape) 사례에서 피해자의 임신이 중대한 상해(substantial bodily injury)에 해당하는지가 문제되었다. 강간 피해 여성의 임신은 피해자의 신체적 및 정신적 측면에서 모두 부정적인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임신의 신체적 및 정신적 효과는 중대한 상해(substantial bodily injury)와 같으며, 강간 피해자의 임신은 강간죄의 처벌을 가중하는 요소로 인정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미국의 판례와 입법례는 강간 피해 여성의 임신으로 인해 야기되는 신체적 변화를 가중처벌의 요소로 볼 것인가에 대하여 서로 다른 입장을 보이고 있다.
    우리 법원은 아직 강간 피해자의 원하지 않은 임신을 상해로 파악하지 않으나, 미국의 판례 중에는 강간 피해자의 임신을 신체상해로 보기도 하며, 이를 인정하는 주의입법도 있다. 본 논문은 우리나라와 미국의 관련 판례와 입법례를 비교하여 살펴보면서, 강간 피해자의 원하지 않은 임신을 상해로 볼 것인가의 문제에 대하여 고찰한 후, 강간 피해자의 임신을 상해로 보아야 한다는 해석론과 입법론을 전개한 것이다.

    영어초록

    Recently, in the Supreme Court of Korea, there has been controversy over whether the victim's pregnancy is bodily injury in the case where the defendant, a stepfather, sexually assaulted an 11-year-old stepdaughter to become pregnant, and in the case where the defendant sexually assaulted a friend of his wife who was asleep under the influence of alcohol at his home. The prosecutor regarded the undesired pregnancy as bodily injury and prosecuted the defendant for aggravated-rape and aggravated-quasi-rape in these cases, but the Supreme Court of Korea admitted only rape and quasi-rape because the undesired pregnancy did not constitute bodily injury. Some scholars argue that pregnancy due to rape should be considered bodily injury, but discussions in Korea are still insufficient.
    Even in the context of US precedents, the question of whether a rape victim's pregnancy constitutes substantial bodily injury has arisen in numerous statutory rape cases, including a case in which a stepfather sexually assaulted a 13-year-old stepdaughter for months, leading to pregnancy, and then aborted. The pregnancy of a rape victim negatively affects the victim's physical and mental aspects. Therefore, it is argued that the physical and mental effects of pregnancy are the same as substantial bodily injury, and that the pregnancy of rape victims should be recognized as a factor that increases the punishment of rape. However, US precedents and legislation have different positions on whether to view physical changes caused by the pregnancy of rape victims as elements of aggravated punishment.
    Korean courts have not yet recognized the unwanted pregnancy of rape victims as bodily injury. However, in the United States, legal precedents sometimes consider the pregnancy of rape victims as bodily injury, and individual state legislations also recognize this.
    This paper compared and examined related precedents and legislation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nd studied the question of whether to view the unwanted pregnancy of rape victims as bodily injury. In conclusion, the author of this paper argues in favor of interpretive and legislative theories that advocate for viewing the pregnancy of rape victims as bodily inj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6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