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현대시조’라는 이념과 ‘율’의 문제 ― 안확의 『時調詩學』(1940)을 중심으로 (Ideology in Modern Korean Sijo and Rhythm Problems : With a focus on the Sijo Sihak by An Whak)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4 최종저작일 2016.08
31P 미리보기
‘현대시조’라는 이념과 ‘율’의 문제 ― 안확의 『時調詩學』(1940)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시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시학연구 / 47호 / 231 ~ 261페이지
    · 저자명 : 김남규

    초록

    본 논문은 현대시조가 탄생하는 지점 혹은 현대시조가 구성되는 1920~1940년대 현대시조 관련 담론에 주목하였다. 그동안 현대시조와 관련된 연구 대부분이 시조부흥론자들의 논의에 보다 집중하면서 안확의 시조론은 상대적으로 소외시켰다. 그러나 안확의 『시조시학』은 그 당시 실증적이고 과학적인 ‘최초의 시조 연구서’였으며, 왕실 소장 자료를 토대로 연구한 시조론이기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시조부흥론자들은 고시조(시조창)에서 현대시조의 기원을 찾았고, 시조창으로부터 악곡을 제거한 형식을 제시하며 새로운 조선 시형을 모색한다. 전통과의 연속성과 민족성을 담지하는 조선 시형을 기획하면서 동시에 근대적인 시형을 추구해야 하는 시대적 과제가 주어졌기 때문이다. 결국 이들에게 시의 성립 요건이 되는 ‘율(律)’의 문제가 도래하였다. 조윤제는 고시조에서 통계를 냈고, 이병기는 도막을 제시했지만, 안확은 끝까지 음악성을 제시하면서 불변적 정형성을 ‘선율’로 제시하였다. 시조부흥론자들과 다르게 안확에게 있어 선율의 문제는 균등한 박자의 배분과 강약의 안배, 즉 음성의 율동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었다. 이들 모두에게 신시와의 차이, 그리고 조선적인 문학 장르가 필요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시조를 짓는 행위 자체가 민족적 동일성을 공유하고 있다는 이념이 되었다. 즉, ‘현대시조’는 문학 장르적 실체가 아니라, 이념이었던 것이다.

    영어초록

    The present study began with interest in the discourses of modern Korean Sijo (verse) in 1920s through 1940s, during which modern Korean Sijo was born or started to be written. Until now, most of the studies on modern Korean Sijo have paid more attention to the discussions of Sijo revivalists and less to Sijo Theory of Jasan An Whak. However, An Whak's 'Sijo Sihak (Poetry)' is worth paying attention to because it was then 'the first research paper of Sijo', which is practical and scientific, and a Sijo theory that was researched based on the royal collections. Sijo revivalists maintained the origin of modern Korean Sijo is the ancient Korean Sojo (Shijo-chang; chang means Korean traditional narrative song) and sought for a new form of Chosun poem by removing melodies from Shijo-chang. They did so because they were given a challenge of the times to plan and find a modern form of Chosun poem, which contains all of tradition, continuity, and ethnicity of Chosun. Eventually, they faced a hard issue of ‘Yeul (scale)', which is a key requirement of a poem. While Cho Yoon-jae suggested statistics for ‘Yeul (scale)' of ancient Korean Sojo and Lee Bung-ki proposed 'Domak (part form)', An Whak put forth ‘melody' as unchangeable pattern' of ancient Korean Sojo, emphasizing the musicality of Chosun Sojo to the end. Unlike Sijo revivalists, An Whak understood that melody was about equal beat and arranging dynamics. In other words, melody was what is created by rhythms of sounds. To all of them, they needed a difference of Chosun Sijo from new poem and a Chosun-exclusive literature genre. Therefore, the act of composing Sijo itself became a, ideological symbol for sharing the same ethnic identity. That is, ‘modern Korean Sijo’ was not the substance of a literature genre, but ideolog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시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