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생성형 AI를 활용한 지역문제해결 수업안 작성 및 시연 프로젝트 (Project to Develop and Demonstrate Lesson Plans for Solving Local Problems Using Generative AI)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4 최종저작일 2024.09
18P 미리보기
생성형 AI를 활용한 지역문제해결 수업안 작성 및 시연 프로젝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회과교육 / 63권 / 3호 / 135 ~ 152페이지
    · 저자명 : 황홍섭

    초록

    본 연구는 2022년 개정 교과 교육과정에서 강조된 지역 기반 교육의 효과를 탐구하고, 예비교사들이 평생학습 시대에 학습자의 삶과 환경에 뿌리를 두고 지역 문제 해결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예비교사들이 지역 사회와 연계하여 실질적인 교육 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지역 문제 해결 수업안을개발하고 시연하며, 그 교육적 효과를 검증하였다. 부산 지역을 사례로 하여 진행된 연구결과, 예비교사들은 생성형AI 도구를 사용하여 지역관련 데이터를 수집, 분석, 시각화하여 깊이 있는 지역 및 지역문제해결관련 지식생산과정, 지역문제해결방안, 이러한 과정을 담은 수업안 작성 및 시연을 통하여 경험을 쌓았다. 이러한 일련의 체계적인과정을 지역문제해결 수업에 적용할 수 있도록 수업안을 작성하고 시연하는 과정을 통하여 학생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협력적인 의사소통 및 창의적인 지역문제해결 능력, 수업전문성 신장을 강화하는 데 기여하였다. 결론적으로, 생성형 AI 기반의 지역문제 해결 프로젝트는 예비교사들에게 실질적인 교육 경험을 제공하고, 수업 목적에 맞는내용, 방법, 평가를 체계적으로 연계하도록 함으로써 미래 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한 아직 생성형 AI의 교육적 적용에 따른 AI의 결과물에 대한 신뢰성과 윤리적 문제를비롯한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region-based education emphasized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nd explores the potential for pre-service teachers to use generative AI in solving local problems rooted in the lives and environments of learners in the context of lifelong learning. To achieve this, we developed and implemented a local problem-solving lesson plan that provided pre-service teachers with practical educational experiences connected to their local communities, while evaluating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this approach. In a study conducted using the Busan region as a case example, pre-service teachers utilized generative AI tools to collect, analyze, and visualize region-specific data. This process facilitated the creation of in-depth knowledge production systems related to regional issues and problem-solving strategies. Teachers gained experience by developing and demonstrating lesson plans that integrated these data-driven processes into local problem-solving classes. Through the creation and demonstration of these lesson plans, the study contributed to enhancing students' digital literacy, collaborative communication,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skills, while also promoting the development of teaching expertise. In conclusion, the generative AI-based local problem-solving project is expected to play a key role in introducing a new paradigm for future education by providing pre-service teachers with hands-on, practical learning experiences. The project systematically integrates content, methods, and assessment in line with instructional goals. However, as generative AI becomes more prevalent in education, there is a clear need for guidelines that address the reliability and ethical considerations of AI-generated outcom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회과교육”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