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후기 실학자의 염정 개혁안과 성격 (A Study on the Silhak scholars’ Reform Plan and Characteristic of Salt Industry Policy in the Late Joseon Dynasty)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4 최종저작일 2020.08
27P 미리보기
조선후기 실학자의 염정 개혁안과 성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남도문화연구 / 40호 / 109 ~ 135페이지
    · 저자명 : 이욱

    초록

    염업은 막대한 이윤을 보장하는 산업이다. 때문에 중국에서는 일찍부터 전매제를 시 행하여, 국가의 중요한 재정원으로 삼았다. 반면 조선은 건국과 함께 소금 전매제의 폐지 를 표방하였다. 조선은 국가재정의 근간을 농업에 두었고, 염업은 국가 재정을 보조하는 수준에 그쳤다. 이러한 상황은 조선후기에도 유지되었다. 그 결과 국가 운영의 부담이 농업과 농민에 게 집중되는 폐단을 낳았다.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서는 농업 이외의 산업에 적절 하게 과세하는 한편, 그것의 정당성과 개연성을 설명할 필요가 있었다. 이때 주목받는 산업 중의 하나가 염업이었다. 이 글에서는 실학자들이 국가 재정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어떠한 방식으로 염업에 과세하고자 했는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첫 번째는 실학자 들이 염업에 대한 정부의 개입 및 과세를 정당화하는 논리를 살폈다. 두 번째는 염정 개혁안의 구체적 내용이었다. 실학자 중에서도 18세기 전반을 살았던 유형원, 18세기 중반의 유수원, 19세기 전반의 정약용의 개혁론을 중심으로 살폈다. 이들은 염업에서 파생한 이윤을 국가에서 거둬들이는 것이 조선정부가 견지해온 원칙 이었음을 강조하였다. 염업에 대한 과세가 농민의 부담을 덜어주고 국가재정을 안정시키 는 조치라고 하였다. 아울러 염업 종사자들도 농민과 비슷한 수준의 세금을 부담하는 것이 공평한 조치라고 주장하였다. 하지만 그들의 염정 개혁안의 내용은 조금씩 달랐다. 유형원은 궁방, 아문의 염분 절수를 폐지하여 소금 생산을 전업 생산자에게 맡기고, 그들에게 적절한 수준으로 세금 을 거두자고 하였다. 반면 유수원은 소금 전매제의 실시를 주장하였다. 정약용은 균역법 과 같은 형식의 수세가 가장 좋다고 하였다. 다만 과세 기준이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는 문제점을 바로잡고자 하였다. 즉 전국의 모든 염업에 대해 동일한 세율을 마련하여 시행 하는 것이다. 아울러 영남의 경우는 관영 염업도 혼용하는 방식을 주장하였다. 실학자들의 염세 개혁론이 달랐던 이유는 생존 시기의 차이 때문이다. 그들이 살았던 시기의 염업 상황이나 국가 정책에 차이가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그들은 자신들이 구상 하는 이상적인 개혁안과 함께 조선의 현실을 반영하여 그들의 개혁안을 구상했던 것이다.

    영어초록

    Salting is an industry that guarantees huge profits. Therefore, the monopoly system was implemented early in China, making it an important financial source for the country. Joseon, on the other hand, advocated the abolition of the salt monopoly system along with the founding of the country. Joseon laid the foundation of national finance on agriculture, and the salt industry was only at the level of subsidizing national finance. This situation was maintain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As a result, the burden of state operation resulted in the evil effects of focusing on agriculture and farmers. To overcome this situation, it was necessary to properly tax non-agricultural industries, while explaining its legitimacy and probability. At this time, one of the industries that drew attention was the salt industry. The analysis was done on how the Silhak scholars tried to tax the salt industry to overcome the national financial crisis. First, the Silhak scholars looked at the logic of justifying taxation on salt industry. The second was the taxation method for the salt industry. Among the Silhak scholars, the focus was on the theory of reform from Yu HyeongWeon, who lived in the first half of the 18th century, Yu Suwon in the mid-18th century, and Jeong Yakyong in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As a result, they emphasized that taxation on salt farming was a principle maintained by the Joseon government. It was said that the taxation on salt farming was a measure to ease the burden on farmers and stabilize the national finances. In addition, it was argued that it was fair for the salter to pay taxes similar to those of the peasants. However, the method of taxation on salt they argued for was different. Yu HyeongWeon will prevent powerful organizations such as the royal court from taking control of the salt industry, leaving the salt industry to the full-time producer, and asking them to collect taxes at an appropriate level. Yusuwon, on the other hand, insisted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salt monopoly system. Jeong Yak-yong argued that the same type of water was the best. However, it was intended to correct the problem of different taxation standards depending on the region. In other words, the same tax rates are prepared and implemented for all the salt industry in the country. In the case of Yeongnam, the government-run salt industry was also promoted. The reason why the Silhak scholars’ theory of salt tax reform differed was because of the difference in the timing of their survival.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state of the salt industry and national policy during their life time. And they came up with their own ideal reform plan, reflecting the reality of Jose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남도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