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안확의 ‘조선’ 인식과 ‘조선철학’ (An Hwak’s Recognition of ‘Joseon’ and ‘Joseon Cheolhak’)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4 최종저작일 2016.08
30P 미리보기
안확의 ‘조선’ 인식과 ‘조선철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철학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철학논집 / 50호 / 171 ~ 200페이지
    · 저자명 : 이행훈

    초록

    1910년대에 들어서면서 본격화한 일제의 ‘조선’ 연구가 식민 정책의 일환이었다면 그에 대항하는 조선 연구는 국권 회복과 자주 독립의 염원을 담고 있었다. 이는 당대 ‘조선’이라는 개념이 발화주체에 따라 그 안에 내포된 의미와 지향이 상이했음을 의미한다. 대한제국의 소멸과 함께 근대 국가 건설은 좌절됐지만 민족의 이념 지형 안에서 ‘조선’은 새롭게 발견되었다. ‘조선’은 과거의 경험을 응축하면서 미래에 대한 기대를 담아내는 역사적 기본 개념이 되어갔다. ‘조선학’은 학술의 장에 국한된 지식인들 사이의 담론이었으나, ‘조선’은 그 내ㆍ외부의 보다 다양한 사회 주체들의 발화를 포괄한다. 더욱이 개념과 담론의 상호 연관을 고려한다면 ‘조선학’은 ‘조선’의 역사적 의미론 속에서 독해되어야 마땅하다. 1920년대 문화운동의 흥기 속에서 안확은 『조선문명사』를 통해 고대 신화의 시대로부터 당대까지를 ‘조선’이라는 기표 아래에 묶어낸다. 역사 실증주의의 미명 아래 자행된 일제의 역사 왜곡에 맞서 조선의 역사를 서양 민주주의 정체에 비견해도 뒤지지 않는 문명으로 이상화한다. 안확은 ‘조선’ 연구를 문화 전반으로 확장하는 가운데 조선의 미술과 문학을 넘어 조선철학의 탄생을 예고했다. 「조선철학사상개관」은 ‘조선철학’을 하나의 독립적 학문영역으로 사고한 최초의 기술로써, 조선의 학술과 사상의 특수성을 인류의 보편적 문명사의 관점에서 파악하려했던 작업의 일환이었다. 안확은 철학을 조선의 3대 발달 가운데 하나로 제시하고, 조선 철학사의 특색을 서양과 비교하여 특정함으로써 조선철학의 고유성과 독자성을 주장했다. ‘종(倧)’을 조선철학의 시원이자 근세에까지 이르는 사상적 근저로 파악하면서 불교와 유교의 수용도 조선철학의 발전으로 인식했다. 전통 지식체계의 근대적 전환과정에서 탄생한 ‘조선철학’은 전통 지를 근대적 학문 분류 체계에 적용하여 재해석하고 재구축하는 지적 실험이었다.

    영어초록

    The full-scaled study of Joseon conducted by Japan in the 1910s was part of its colonial policy, while the native Joseon studies against it contained political aspiration to recover the national rights and independence. Accordingly, the conceptual meaning of ‘Joseon’ varied according to its subject of speech. The establishment of modern nation-state failed along with the extinction of Korean Empire, but ‘Joseon’ was newly discovered within national ideology. It became a historical concept in which the experience of the past and the expectation toward the future could be united. The so-called ‘Joseon Studies’ was only limited to intellectuals in the academic circle, but ‘Joseon’ embraced the articulations from more various social agents. Furthermore, it is only natural that ‘Joseon Studies’ should be interpreted within the historical semantics of ‘Joseon’, considering the connection between concept and discourse. In his The History of Joseon Civilization, An Hwak encompassed the history from the times of ancient mythology to the contemporary times under the banner of ‘Joseon’. Opposing Japanese distortion of history carried out in the name of historical positivism, he idealized Joseon history as comparable to that of the Western democracy. He extended the study of ‘Joseon’ into culture at large, foreshadowing a kind of Joseon philosophy. In his An Overview of Joseon Philosophical Ideas, the first description of ‘Joseon philosophy’ as an independent field, he proposed philosophy as one of three sources of pride in Joseon and asserted its uniqueness and originality compared to the West. It was an attempt to grasp the peculiarity of Joseon ideas from a perspective of the history of universal human civilization. He considered ‘Jong’(倧) as an ideological foundation held from the ancient to the modern times, and the acceptance of Buddhism and Confucianism as beneficial to ‘Joseon philosophy’. The birth of ‘Joseon philosophy’, the modern transformation of the traditional knowledge system, was an intellectual experiment to apply traditional knowledge to the modern disciplinary classification syst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철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