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安炳瓚家의 민족운동 (National Movement of An, Byeong-chan Famil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4 최종저작일 2015.04
40P 미리보기
安炳瓚家의 민족운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50호 / 39 ~ 78페이지
    · 저자명 : 김상기

    초록

    안병찬가 중에서 홍주의병에 참여한 대표적인 인물로 안창식·안병찬·안병림 3부자와 안항식이 있다. 안창식은 1895년 4월부터 박창로 등 지역의 선비들과 의병봉기를 준비하였다. 그는 1896년 명성황후의 시해 소식을 듣고 민병을 모집하여 장자인 안병찬에게 이들을 인솔, 홍주성으로 진입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안창식·안병찬 부자는 관찰사의 변심으로 체포되고 말았다. 안병찬은 수모를 당하느니 차라리 죽는다면서 옥중에서 칼로 목을 찔러 자결을 시도하였으며, 안창식은 육순의 나이에 곤장을 맞는 수모를 당해야 했다.
    안병찬은 을사조약에 항거하여 1906년 3월 의병을 다시 일으키고 민종식을 대장에 추대하였다. 안병찬은 通文을 작성하여 의병을 모집하였다. 의병대는 홍주성을 공격하였으며, 청양의 합천전투를 치렀다. 그는 합천전투에서 체포되어 공주감옥에 수감되었으나, 전 관찰사 이남규의 주선으로 석방되었다. 안병찬은 석방되어 또 다시 민종식의 의진에 참여하여 참모의 직을 맡아 홍주성전투에 참전하였다. 이때 그의 동생인 안병림도 전투에 참전하였다. 안병찬은 안병림과 홍주성을 탈출하여 이남규의 집에서 재기를 도모하다가 체포되었다. 풀려난 후에는 박창로 등과 칠갑산 일대에서 항전하다가 체포되어 옥고를 겪었다. 그의 숙부인 안항식도 홍주성전투에 참전하여 체포되어 일본의 대마도에 유배되었다. 안항식은 대마도에서 유준근 등 홍주의병과 최익현 등과 함께 유배생활을 하다가 1907년 2월에 풀려났다. 안병찬은 1919년 김복한과 함께 호서지역 파리장서운동에 참여한 일로 체포되어 또 다시 옥고를 치렀다.
    이와 같이 안병찬가는 의병 항전에 이어 1919년 3·1운동에 참여하는 등 항일민족운동을 투쟁적으로 전개한 대표적인 집안이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Leading figures who participated in the Hongju Righteous Army of An byong-chan family is An chang-sik, An byong-chan, An byong-rim and An hang-sik. An chang-sik was preparing the Righteous Army uprising in April 1895 with local scholars. After hearing the Empress in 1896 was killed by Japanese soldiers, he recruited Righteous Army, and let An byong-chan to lead them into Hongju castle. However, An byong-chan and An chang-sik was arrested because of betrayal of provincial governor. An byong-chan tried to kill himself by sticking his neck with a knife saying it is better to die rather than suffering indignity in prison. An byong-chan raised the Righteous Army, inducting Min jong-sik as a captain in April 1906. Hongju Righteous Army attacked Hongju castle, and fought against the Japanese army in Hapcheon of Cheongyang. He was arrested in Hapcheon battle and imprisoned in Gongju prison, but he was released thanks to the efforts of former provincial governor Yi Nam-gyu. As soon as he was released from prison, he fought in Hongju castle Battle as Righteous Army staff officer. At this time, his brother An byong-rim also fought in the battle. His uncle An hang-sik was arrested in Hongju castle battle went into exile in Tsushima, Japan. An byong-chan participated in Petition movement to Paris with Kim bok-han in 1919 and suffered in prison for that. Thus it can be said that An byong-chan family is exemplary family which had participated in the ongoing struggle Righteous Army struggle and March First Movement in 1919.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독립운동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