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만당의 궁중음악과 정악의 연구 배경 및 개념 규정 (Mandang’s Court Music and JeongakStudy Background and Concept)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4 최종저작일 2020.12
27P 미리보기
만당의 궁중음악과 정악의 연구 배경 및 개념 규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악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음악연구 / 68권 / 201 ~ 227페이지
    · 저자명 : 최선아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만당 이혜구 박사가 궁중음악과 정악의 개념을 어떻게 정의하고 사용했는지 밝히는 것이다. 만당은 대학에서 국악을 강의하기 이전, 경성방송국 직원의 소임을 맡아 생방송으로 진행되는 국악을 청취자에게 알기 쉽게 소개하고자 하였다. 그는 국악을 과거 조선왕조(대한제국)의 음악 유산으로 만난 것이 아니라, ‘현행’ 음악이자 생방송용 음악으로 처음 만났다. ‘현행’ 한국음악을 방송하는 만당은 과거의 기록을 통해서 현재의 한국음악을 이해하려 하였다. 만당은 국악에 대한 정보를 얻거나 고악보와 국악문헌을 수집해서 직접 국악을 연구하였다. 그는 『악학궤범』과 중국 문헌을 구입해서 연구했고, 모리스 쿠랑, 안드레 에카르트, 계정식 등이 해외에서 발표한 한국음악 연구서 등을 접하며 동․서양음악의 한 분과로서 한국음악을 인식하게 되었다.
    만당의 초기 한국음악 연구 배경은 그의 궁중음악과 정악의 개념 규정에도 영향을 미쳤다. 만당은 궁중음악이란 용어를 사용해서 한국음악사의 특정 시기의 음악을 범주화하지 않았다. 다만 조선후기 등장한 민간음악의 대조어로 궁중음악이란 용어를 사용했을 뿐이다. 만당은 정악을 역사적 관점과 더불어 오늘날 한국음악 상황에 맞추어 서양의 실내 소나타와 유사하게 고전 실내악으로 개념 규정해서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만당의 경성방송국 시절부터 시작된 한국음악의 ‘현재성’과 ‘국제성’에 대한 학문적 관심이 그의 궁중음악과 정악의 개념 규정에도 영향을 끼쳤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how Mandang(晩堂) Lee Hye-ku(李惠求) defined and used the concepts of gungjungeumak(宮中音樂:court music) and jeongak(正樂). Before giving lectures on Korean music at university, Mandang tried to introduce Korean traditional music, which is broadcast live, to listeners in an easy-to-understand manner by taking on the job of an staff of Kyungsung Broadcasting Station. He met Korean traditional music not as a musical heritage of the Joseon Dynasty (Korean Empire), but as current music and music for live broadcasting. Mandang, who is currently broadcasting Korean music, tried to understand the current Korean music through records of traditional music from the past. Mandang studied traditional Korean music by obtaining information about Korean music or collecting old sheet music and books related to Korean music. He purchased Akhakgwebeom (樂學軌範) and old Chinese books, and after reading Korean music studies published abroad by Maurice Courant, André Eckardt, and Gye, jeong-sik, he came to recognize Korean music as a branch of Eastern and Western music.
    The background of Mandang’s early research on Korean music also influenced his concept of gungjungeumak and jeongak. Mandang did not use the term gungjungeumak to categorize music from a specific period of Korean music history. However, the term court music was used as a contrast to minganeumak(民間音樂:outside court music) that appear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Mandang not only used the concept of jeongak from a historical point of view, but also used it as a classical chamber music, similar to the western chamber sonata, in accordance with the current Korean music situation.
    Eventually, it was confirmed that his academic interest in the ‘presentity’ and ‘internationality’ of Korean music, which began in the days of Mandang’s Kyungsung Broadcasting Station, influenced his concept of gungjungeumak and jeonga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음악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