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역 언론의 구조적 악순환과 전략적 대안 (Structural changes in local journalism and the future of local media : In-depth interviews with local newspaper journalists)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4 최종저작일 2021.02
44P 미리보기
지역 언론의 구조적 악순환과 전략적 대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언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언론학보 / 65권 / 1호 / 104 ~ 147페이지
    · 저자명 : 강주현, 최창식

    초록

    지리적 공간에 기반했던 전통적 개념의 지역성이 교통과 통신 등의 발달로 인해 다층적이고 복합적인 지역성 개념으로 진화하고 있다. 지역 언론 역시 달라진 매체 환경 속에서 새로이 지역성을 확립하고 그들 나름의 생존과 발전을 모색해야 할 상황에 처했다. 이 연구는 지역지 기자, 전국지 지역 담당 기자들과 심층 인터뷰를 통해 그들이 현재 인식하는 지역성의 개념, 지역 언론의 존재 가치, 지역 언론의 위기 인식 및 원인 진단, 그들이 생각하는 대안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지역지 기자들은 우선 전통적인 공간 중심의 개념으로 지역 보도에 접근했으며, 스스로를 지역의 사관(史官), 지역민의 대변자, 지역 이익의 수호자로 인식했다. 그러나 포털 중심의 온라인 저널리즘 환경이 형성되면서 지역 언론이 배제된 뉴스 유통 구조가 지역 언론의 영향력 약화와 지역 언론의 경제적 토대를 붕괴시키는 원인이 되었다고 진단했다. 또한, 지역 언론 내부 문제점으로는 변화에 기민하게 대응하지 못하는 편집국의 보수적 문화, 지역 뉴스 이용자의 참여 한계 등을 토로했다. 지역 언론의 생존 방안으로 지역 기자들은 동영상 콘텐츠 등을 제작하며 종래의 틀을 벗어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이어 지역 언론의 새로운 활로로 제시되어 온 신지역주의나 하이퍼-로컬리즘에 관한 지역 언론인들의 인식을 알아보았다.

    영어초록

    As technology continues to develop and diffuse rapidly, drastic changes are taking place in various areas of our contemporary society, including the media environment and market. Local media, including local newspapers and local broadcasting stations are no exception to such change. In addition, as the traditional concept of locality, which is based on geographic space and boundary, evolves into a more multi-layered and complex concept of locality due to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local media have been called on to newly establish the concept of locality in the changing media environment and required to seek their own way of survival and development. Beginning from this background, the current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eight local newspaper reporters, including reporters from local newspapers and local correspondents of nation-wide newspapers. In the interviews with the reporters, the researchers asked several pivotal and probing questions, including those regarding the concept of locality they have in mind as local reporters, the meaning of the existence of local media, the current crisis and its causes surrounding their medium, and possible alternatives in their struggle for existence. After analysis, the researchers found that the interviewees from local newspapers are still sticking to the region-based traditional concept of locality and recognize themselves as chroniclers of local issues and history, advocates of the local people, and defenders of local interests against the central government. On the one hand, however, they confessed that the current local media crisis was caused not only by the external environment, such as increase of online news media, portal news, and breaking-news competition, but also internal problems, for example, the conservative atmosphere of their organization and internal resistance toward work environment changes. In addition, the interviewees suggested the necessity of crossover media production and deviations from existing practices. For example, newspaper companies need to have the ability to create and provide video content to their subscribers through different channels, such as YouTube, even though they have been known as newspaper companies through the decades in their respective regions. However, the researchers were not able to catch the recognition of neo-localism or hyper-localism, which have been suggested as new directions for the local media, from the interviewees. In summary, in order for the local media to overcome the current crisis and find a new way of survival and prosperity, it is recommended that they evolve their conception of locality into a multi-faceted one and become aware of new trends involving media local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