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음악 문헌을 통해 본 조선 초기 종묘악장의 변화 탐색 (Exploration on the Change of Jongmyo Akjang in Early Joseon Seen through Music Literatures)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4 최종저작일 2024.02
40P 미리보기
음악 문헌을 통해 본 조선 초기 종묘악장의 변화 탐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청계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청계사학 / 27권 / 115 ~ 154페이지
    · 저자명 : 이정희

    초록

    본 고는 조선 초기 종묘 제례에서 가창했던 악장(樂章)의 변화 양상을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종묘악장은 조선 왕실의 조상들을 송축한 문학이자 음악이다. 제사를 지낼 때 악장을 노래해야만 조상신이 강림하여 복을 준다고 여겼기에, 악장은 신과 인간을 연결해 주는 매개체라는 상징성에서 중요했다. 그리고 왕실 사당이라는 종묘의 위상과 맞물려 조선 건국 후 종묘악장은 제례 악장 중 가장 먼저 개정되었다. 처음에는 악장 본연의 의미를 살려서 각 실에 모신 인물의 공덕을 노랫말로 제작하는 방식으로 운영하였다. 실마다 별도로 악장을 지어 가창했던 것이다. 즉, 1실 1악장 체제를 갖춤으로써 악장의 독립성을 유지하였다. 반주 악현의 형태도 옛 제도[古制]의 충실한 재현을 지향하였다.
    그러나 세조가 종묘제례악을 보태평・정대업으로 정하면서 악장의 개별성이 사라졌다. 7인을 송축한 보태평・정대업을 종묘 제사에서 통용했기 때문이다. 또한 가창자를 등가뿐 아니라 헌가까지 삽입하고, 아, 당, 향악기로 확대 구성하였다. 그리하여 현가(絃歌) 중심으로 고즈넉한 분위기에서 가창했던 이전과 달리 공연의 성격이 강화되었다. 이는 종묘제례악의 역사에 변곡점이라고 규정할 만큼 후대에 큰 영향을 끼쳤다. 악인(樂人)들은 갑작스러운 변화에 부적응하여, 정전에서 향악을 연주하고 영녕전에서 아악을 주악하는 분열적인 상황을 배태하기도 하였다. 혼란은 지속되었고 이를 정비하기 위한 노력은 성종 말엽까지 이어졌다. 상론한 양상은 『세종실록악보 』, 『세종실록 』 「오례」, 『세조실록악보』, 『국조오례의 』, 『국조오례서례 』, 『악학궤범 』 등에 선명하게 남아 있다.
    이렇듯 조선 초기 종묘악장은 ‘형성 – 변혁 – 혼란 – 정비’의 굴곡을 이루었지만, 결국 세조대의 것을 계승하는 방향으로 정리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혼선을 빚었던 연주현장을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성종 말엽까지 힘썼음을 확인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악장 본연의 의미가 구현된 1실 1악장 제도가 퇴색했기 때문에 논란의 불씨는 여전히 남아 있었다.

    영어초록

    Jongmyo Akjang(宗廟樂章) is literature and music that praises the ancestors of Joseon’s royal family. They believed that only when the Akjang was sung during the ritual, the ancestral deity came to the fore and gave blessings. Therefore, the Akjang was important in its symbolicity as a medium connecting the deity and human beings. In the beginning, independent Akjang was composed and sung for each of the chambers, and the form of the accompanying band also conformed to the old system.
    However, the individuality of the Akjang disappeared as King Sejo designated Jongmyo Jeryeak as Botaepyeong・Jeongdaeeop. This is because Botaepyeong・Jeongdaeeop to praise seven persons was used in Jongmyo rituals. In addition, singers were placed in both Deungga and Heonga, and a band of various musical instrument players was formed, thereby deepe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formance. Failing to adjust to the sudden change, the musicians created a divisive situation in which they played Hyangak in Jeongjeon and performed Aak in Yeongnyeongjeon. The confusion continued, and efforts to reorganize it continued until the end of King Seongjong. The detailed aspects mentioned above remain clear in Sejong Silok Akbo, Sejong Silok Oryeo, Sejo Silok Akbo, Gukjo oryeui, Gukjo orye seorye, and Akhak Gwebeom.
    Like this, Jongmyo Akjang in early Joseon formed a curve of ‘formation – transformation – confusion - maintenance’ but was eventually organized in the direction of inheriting the things in King Sejo’s reign. Nevertheless, the spark of controversy still remained because the original meaning of the Akjang had fad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청계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