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보육교사의 영유아 문제행동 및 행동재활에 대한 인식 (Child Care Teachers’ Awareness on Infants and Young Children’s Problematic Behaviors and Behavioral Rehabilitation)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4 최종저작일 2016.12
27P 미리보기
보육교사의 영유아 문제행동 및 행동재활에 대한 인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 수록지 정보 : 정서·행동장애연구 / 32권 / 4호 / 303 ~ 329페이지
    · 저자명 : 조재규

    초록

    본 연구는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영유아의 문제행동 및 행동재활에 대한 인식을 조사함으로써, 영유아기 문제행동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가지고 이에 대한 효율적인 중재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G도 소재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 13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알아보았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보육교사의 절반 이상이 ‘1명 이상’의 문제행동 영유아를 지도하고 있었으며, 가장 많이 보이는 문제행동은 ‘부주의․충동적 행동’이었다. 그리고 어린이집에 문제행동을 보이는 영유아가 다수 있음에도 대부분의 영유아가 행동재활 서비스를 ‘받지 않고’ 있었다. 둘째, 보육교사들이 가장 많이 접하는 장애는 ‘ADHD’이었으며, ‘정서․행동장애’가 가장 많은 문제행동을 유발한다고 응답하였다. ‘사회․정서발달’을 가장 중요한 발달영역으로 생각하고 있었으며, 영유아가 문제행동을 보이면 ‘영유아 학부모와 상담한다.’가 가장 많았으며, 영유아가 ‘공격성․폭력성 행동’을 보일 때 행동치료의 필요성을 느낀다고 하였다. 그리고 보육교사들은 행동치료 연수를 받은 경험이 거의 없었지만, 행동치료 연수에 대한 참여 욕구는 매우 높게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들은 ‘문제행동의 진단․평가에 대한 이해’ 정도는 평균 2.40으로 매우 낮았으며, 특히 ‘행동발달에 관한 평가도구나 내용에 대해 알고 있다.’가 가장 낮았다. ‘문제행동 해결 방안에 대한 이해’ 정도는 평균 2.59로 낮았으며, ‘행동치료 및 교육프로그램에 대해 알고 있다.’가 가장 낮았다. ‘행동재활 서비스에 대한 이해’ 정도는 평균 2.45로 매우 낮았으며, ‘행동치료사의 자격 요건(자격증, 취득 방법 등)에 대해 알고 있다.’가 가장 낮았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comprehend problematic behaviors in infants and young children and examine efficient solutions to those behaviors by exploring awareness of child care teachers who are working in child care centers on problematic behaviors and behavioral rehabilitation. The subjects are 139 child care teachers who are currently working in a child care center located in G-do. The data was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SPSS Win 21.0 program to obtain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ore than half of teachers were instructing ‘more than one’ infants and young children with problematic behaviors and the most frequently encountered problematic behavior was ‘inattention and impulsive behaviors.’ In addition, although there were many children who showed problematic behaviors, most of them ‘did not receive’ any behavioral rehabilitation service. Second, the most common disorder encountered by child care teachers was ‘ADHD’ and they replied that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 mostly likely causes problematic behaviors. They considered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is the most important developmental domai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e most frequent solution to infants or young children’s behavioral problems was to ‘consult with children’s parents.’ They also indicated that they feel the need of behavior therapy when the children show ‘aggressive and violent behaviors.’ Moreover, child care teachers had little experience in behavior therapy training while they show high level of interests in participating in such training. Third, the degree of child care teachers’ ‘understanding of analysis and assessment on problematic behaviors’ was very low, M=2.40, especially in terms of ‘I am well aware of assessment tool and contents of behavioral development’ item. The mean score of ‘understanding of solutions to problematic behaviors’ was also low, M=2.59, and they showed the lowest degree of ‘understanding of behavior therapy and education programs.’ The average score regarding ‘understanding of behavioral rehabilitation service’ was very low, M=2.45, and the lowest score was ‘awareness on requirements(certificate, acquisition method, etc.) for behavior therapist certific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정서·행동장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