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출토 백자를 통해 본 조선시대 독산성의 변천 과정 (The Characteristics and Transformation of Doksanseong in the Joseon Dynasty Seen Through Excavated White Porcelain)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4 최종저작일 2021.04
26P 미리보기
출토 백자를 통해 본 조선시대 독산성의 변천 과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백산학회
    · 수록지 정보 : 백산학보 / 119호 / 107 ~ 132페이지
    · 저자명 : 김귀한

    초록

    독산성은 15∼16세기의 상황을 알려주는 문헌이나 물질자료가 부족하다. 따라서 독산성에관한 기존의 연구는 사료가 풍부한 임진왜란 이후의 시기에 집중되었다. 이러한 연구 경향으로인해 조선시대 독산성의 성격 변화를 구조적으로 이해하기 어려웠다. 이 글은 독산성에서출토된 백자를 통해 조선시대 독산성의 변천 과정을 당시의 시대적 흐름 속에서 유기적으로설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독산성에서 수습된 백자는 대부분 18∼19세기에 제작되었다. 17세기로 추정해 볼 수 있는유물도 확인되었다. 이에 비해 15∼16세기에 생산된 자기(磁器)는 소수에 불과하였다. 이와같은 백자의 출토현황은 17세기 이후 독산성의 성격이 변화된 사실을 규명할 수 있는 중요한근거로 활용할 수 있다.
    15∼16세기 독산성은 수원부의 입보용(入保用) 산성(山城)이었다. 조선 초 산성은 전쟁 등비상시에만 활용하는 공간으로 인식되었다. 세종대 산성에서 읍성(邑城) 중심의 방어체제로전환되면서 ‘수원(水源)’을 확보하기 힘든 독산성이 정비될 가능성은 희박하였다. 독산성은임진왜란 당시에도 ‘고성(古城)’이라는 이미지(image)가 강하였다. 임진왜란 중 독산성은 수축(修築)되었으나 전쟁이 끝나자 다시 관리가 되지 않았다. 이는 비상시적인 입보성의 일반적인 한계였다.
    17세기 이후 독산성은 비상시적인 입보성에서 상시적인 군사적 공간이자, 민들의 생활공간으로 변모하였다. 조선 조정은 임진왜란이 종결된 이후 양호(兩湖)의 도적이 증가하자 독산성에 도성을 보호하기 위한 치안(治安) 기능을 부여하였다. 성내에 우물을 만들고, 밭을 일구어식량을 확보하였다. 군사훈련도 실시하였다. 독산성은 백성과 군인 등이 항시 거주하는 공간으로 활용되었다. 독산성 내에 사람이 생활하게 되면서 백자의 수요가 발생하였을 것이다. 독산성에서 이 시기 백자가 집중적으로 확인되는 것은 독산성의 성격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을것으로 추정된다.
    요컨대 독산성에서 출토된 백자는 독산성이 15∼16세기 비상시적인 입보성에서 17세기이후 상시적인 공간으로 변모되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물질자료(物質資料)이다. 아울러 문헌을 통해 17세기 이후 독산성의 성격이 변화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번 연구는 조선시대독산성의 변천 과정을 유물과 문헌을 바탕으로 역사고고학적인 시각에서 검토하였다는 데에의미가 있다고 생각된다.

    영어초록

    There is a lack of literature on Doksanseong, a fortress near Suwon, that describes the situation of the fortress in the 15th and 16th centuries. As a result, study of this fortress has concentrated on the period of the post-Japanese Invasions of Korea, which offers a relative wealth of material for study. However, for these reasons, it wa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transformation of Doksanseong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ructurally explain the process of Doksanseong’s transformation in the Joseon Dynasty based on the white porcelain fragments excavated from the fortress site.
    Most of the white porcelain fragments recovered from the site were created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In addition, relics estimated to have been made in the 17th century have also been recovered. Only a few porcelains were made in the 15th and 16th centuries. The periodical distribution of such relics is proof that the character of Doksanseong changed around the 17th century.
    During the 15th and 16th centuries, Doksanseong was a mountain fortress that was built to protect people in the Suwon area. In the early Joseon Dynasty, mountain fortresses were treated as places for emergency use only, such as war. With the transition from a mountain fortress to an “Eupseong” town wall-centered defense system during King Sejong's time, it was unlikely that Doksanseong would be rebuilt, as it no longer played the role of defending Suwon.
    Doksanseong had a strong image of an “ancient fortress” even during the Japanese Invasions of Korea 1592–1598. During the Japanese Invasions, it was renovated. However, when the war ended, it was no longer maintained. This was a common limitation of fortresses that were made to protect people for emergency use.
    During the early 17th century, Doksanseong was transformed into a permanent military space and a living space for citizens from a protective area for emergency use. The court of the Joseon Dynasty added security functionality for Doksanseong to protect the capital city as the number of bandits increased after the Japanese Invasions ended. They also built wells within the fortress and cultivated farms to secure food. Military training was also conducted. Doksanseong was now used as a place of residence where common citizens and soldiers stayed. It is likely that the demand for white porcelain increased as people started to actually settle down in the fortress. The vast quantity of white porcelain at the time found in Doksanseong is believed to be closely related to the change in its functional characteristic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백산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