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筆記를 통해 본 조선전기 영남지역의 문화와 인물 (Culture and figures of Yeongnam region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rough handwriting(筆記))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4 최종저작일 2021.12
28P 미리보기
筆記를 통해 본 조선전기 영남지역의 문화와 인물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漢文學報 / 45권 / 145 ~ 172페이지
    · 저자명 : 신상필

    초록

    嶺南은 畿湖, 湖南, 嶺東, 關西와 함께 한반도의 지역에 대한 호칭이다. 이때 랜드 마크인 ‘嶺’, ‘湖’ 등에 방향을 더해 대체적인 지역을 특정한 것이다. 이 점에서 영남은 ‘큰 고개의 남쪽’, 흔히 문경새재로 불리는 ‘鳥嶺의 남쪽 지방’을 가리키며, 일반적으로 慶尙道 지역을 의미한다. 그리고 경상도에는 낙동강이 남북으로 가로지르고 있어 ‘江左·江右’의 구분이 이뤄지기도 한다. 그런데 이러한 명칭은 지역을 편의적으로 구분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다. 해당 지역의 자연 지리적 여건에서 비롯한 물산과 이를 기반으로 살아가는 民生들의 삶이 일군 역사와 문화의 성격이 그 호칭에 함축적으로 녹아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지역에 대한 인식은 조선후기 李重煥(1690~1752)이 편찬한 『擇里志』의 「卜居總論」에 地理·生利·人心·山水 등과 같은 문화·경제적 특징을 다룬 인문지리서의 출현으로 결실을 맺기도 하였다. 이는 이미 조선전기인 성종 12년(1481) 50권 분량의 『東國輿地勝覽』 간행에서 엿볼 수 있는 인식이기도 하다. 다만 이 경우 지역에 대한 연혁과 경개에 관련 題詠의 문화적 면모를 소개하고는 있으나 영토에 대한 국가적 차원의 접근이라는 점에서 일정한 차이가 느껴진다.
    본고는 조선전기의 영남이라는 지역에 대한 인식과 그 형성 과정을 ‘筆記’ 저술에 주목해 확인하고자 한다. 필기 양식이 고려후기로부터 조선전기에 등장하는 과정에서 문인들이 견문한 사실을 기록으로 남긴 영남 지역에 대한 인식과 기억을 살펴보려는 것이다. 예컨대 조선중기 이후 허균과 같은 문인들의 지역에 대한 종합적 평가와 인식의 형성 과정을 조선전기 필기류에 그려진 영남 지역에 대한 단편적 기록과 언급들을 수습함으로써 추적해 보려는 것이다.
    이에 본고는 먼저 고려후기 李仁老(1152~1220)의 『破閑集』과 李齊賢(1287 ~1367)의 『櫟翁稗說』을 통해 조선전기 이전의 영남 지역에 대한 언급들을 살펴보고, 이로부터 조선전기 徐居正(1420~1488)의 『東人詩話』·『筆苑雜記』·『太平閑話滑稽傳』에서 양식적 완성을 이룬 필기들의 언급과 비교함으로써 영남의 인물과 문화에 대한 지역성의 형성 과정을 대비적으로 부조시켜 보고자 한다.

    영어초록

    Yeongnam, along with Honam, Yeongdong, and Gwanseo, is a title for the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At this time, the general area is specified by adding directions to landmarks such as ‘young’ and ‘ho’. In this regard, Yeongnam refers to the ‘south of the great pass’, the ‘south region of Joryong’, often called Mungyeongsaejae, and generally refers to the Gyeongsang-do region. Also, in Gyeongsang-do, the Nakdong River crosses from north to south, so the distinction between ‘gangjwa’ and ‘gangwoo’ is sometimes made. However, these names do not stop at distinguishing regions for convenience. This is because the name implies the nature of the history and culture of the people living on the basis of the natural and geographical conditions of the region. Such awareness of the region has come to fruition with the emergence of a human geography book dealing with cultural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such as geography, physiology, human mind, and arithmetic in the 「Chongron of Residence」 of <Taekriji> compiled by Lee Jung-hwan(1690–1752)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is is a perception that can already be seen in the publication of <Dongguk Yeojiseungram>, which is 50 volumes in the 12th year of King Seongjong(1481), in the early days of the Joseon Dynasty. However, in this case, although the cultural aspects of Korean poetry related to the history and development of the region are introduced, there is also a certain difference in that it is a national approach to the territory.
    This paper intends to confirm the perception of Yeongnam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the process of its formation by paying attention to the writings of ‘handwriting’. In the process of writing style appearing from the late Goryeo to the early Joseon Dynasty, I would like to examine the perception and memory of the Yeongnam region, which was left behind by the writers. For example, it is intended to trace the process of comprehensive evaluation and formation of perceptions on the region of writers such as Heo Gyun after the mid-Joseon period by retrieving fragmentary records and references to the Yeongnam region drawn in the writings of the early Joseon Dynasty. Therefore, this paper first examines the mentions of the Yeongnam region before the early Joseon Dynasty through <Pahanjip> by Lee In-ro(1152-1220) and <The Story of Yeog-ong> by Lee Je-hyeon(1287-1367) in the late Goryeo period. From this, the process of forming locality for the people and culture of Yeongnam by comparing it with the mentions of the handwritings that achieved stylistic completion in <Dongin Poetry>, <Pilwonjapki>, and <Taepyeong Hanhwagolgyejeon> by Seo Geojeong(1420~1488) in the early Joseon Dynasty. We would like to emphasize the contras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漢文學報”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