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언론보도 분석을 통해 본 북한의 기후변화 담론 변화 (Changes in the Climate Change Discourse of North Korea: A Media Coverage Analysis)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19.09
37P 미리보기
언론보도 분석을 통해 본 북한의 기후변화 담론 변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아태연구 / 26권 / 3호 / 65 ~ 101페이지
    · 저자명 : 윤순진, 안새롬, 홍종호, 이찬희

    초록

    한반도에서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남과 북의 적극적인 환경협력이 긴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북한이 기후변화 문제를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북한 언론보도 분석을 통해 2009년부터 2017년까지의 북한 기후변화 담론을 추적하였다. 북한의 대표적인 언론 매체인 『로동신문』과 『민주조선』을 통해 기후변화 관련 기사 총 968개를 수집하고 보도 추이를 분석하고, 북한 기후변화 담론 변동의 계기를 확인하기 위하여 특정 사건들 전후의 담론 변화를 검토하였다. 또, 표제나 본문에 ‘기후’ 또는 ‘온난화’가 포함된 기사의 표제에서 명사만 추출한 뒤, 연도별 워드 클라우드, 핵심어 연결망 비교 분석 등을 실시하여 시간 흐름에 따른 기후변화 담론의 내용과 특성을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북한의 기후변화 담론 변화의 가장 큰 계기는 정권 변화로 나타났다. 두 정권 모두 공통적으로 기후변화가 세계적 식량위기를 가져올 수 있는 심각한 문제이며 국제적인 공동 노력과 대체 에너지 개발이 필요함을 강조하였지만 김정일 정권의 자력갱생, 북극 개발 담론과는 다르게, 김정은 정권에서는 과학 농사, 산림 대응 담론이 형성되었다. 특히 김정은 정권에서는 이전 정권에 비해 기후변화의 의미와 결과, 대응 방안 등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담론들이 유통되고 기후변화 적응 담론이 활발하게 구성되고 있다. 이 연구는 북한의 기후변화 이해와 대응 의지 및 요구들을 확인함으로써 향후 남북 기후협력의 방향과 방안을 모색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영어초록

    In order to cope with consequences of rapid climate change on the Korean peninsula, active environmental cooperation between North and South is critical. To do this, we need to look at how North Korea understands climate change. This study traces North Korea’s discourse on climate change from 2009 to 2017 through an analysis of North Korean media reports. 968 articles related to climate change were collected from “Rodong Sinmun” and “Minju Joseon,” which are representative media of North Korea. In addition, only nouns were extracted from the headlines of articles containing ‘climate’ or ‘warming’ in the text, and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discussion on climate change over time were reviewed by comparing the yearly word cloud and the keywords network. Analysis of discourses on climate change over time were carried out through news reports, and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were reviewed by yearly word cloud and key word network analysis. As a result, the biggest change in North Korea’s discourse on climate change was the regime change. Both Kim Jong-il and Kim Jong-un regimes, in general, stress that climate change is a serious problem that can bring about a global food crisis, and that international joint efforts and alternative energy developments are needed. However, unlike the Kim Jong-il regime’s self-rehabilitation and Arctic development discourse, science farming and forest response discourse were formed in the Kim Jong-un regime. In particular, the Kim Jong-un regime is distributing more concrete discourses on the meaning, consequences, and countermeasures of climate change compared to the previous regime, and actively discourses on climate change adaptation.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search for directions and measures for future North-South climate cooperation by identifying North Korea’s understanding of climate change, its willingness to respond, and its need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아태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