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성인문해교육자는 왜 거기에 남아있는가? (Adult Literacy Educators, from developing expertise to job persistence)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18.09
36P 미리보기
성인문해교육자는 왜 거기에 남아있는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평생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평생교육학연구 / 24권 / 3호 / 31 ~ 66페이지
    · 저자명 : 양은아

    초록

    본 연구는 성인문해교육자가 문해교육 현장을 개척하는 과정에서 자기 스스로 이 직업의 전문성과 지속가능성을 개발하고 규정해 나가는 복합적 층위를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울산지역의 한 문해교육 거점기관에 설립 초기부터 참여한 베테랑 문해교육자를 대상으로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진행하였고, 추가적으로 본 기관에서 2년 이상 재학한 학습자 16명 및 교수자 3명과의 면담을 통해 다각도로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성인문해교육자”로 만들어가는 과정에서 “자기지속가능성”의 동력으로 작용하는 3개 영역 및 10개 하위영역을 도출하였다. 문해교육자의 전문성은 스킬이나 역량의 차원을 넘어 자기결단과 지속가능한 헌신과정을 포함한다. 특히 열악한 교육환경과 과정에서의 오랫동안 이어져오는 지속가능성은 오직 자신과 사회에 대한 철저한 성찰과 철학적 견고함을 바탕으로 하지 않으면 불가능하다. 문해교육의 난해함은 교과의 내용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거꾸로 뒤집힌’ 관계와 세계에서 온다. 대상자가 아동이 아니라 성인이라는 것, 이미 세상의 많은 것을 알고 경험했지만 그 기초가 되는 ‘읽기, 쓰기’를 모른다는 아이러니, 그로 인해 기묘하게 일그러진 삶과 생활들을 간파하지 않으면 성인문해교육은 불가능하다. 이렇게 일그러지고 왜곡된 삶과 관계상들을 이해하는 과정 자체는 결코 기술적 역량으로 표현되기 어렵다. 그 점에서 (1) 성인문해교육자의 전문성은 현장상황 속에서 스스로 구성해 낸 전문성이며, (2) 그렇게 구성해 내는 전문성 안에는 교사와 학습자의 상황 특수적 세계가 반영되어 있고, 이 자체가 이들이 세계를 이해하고 구성하는 방식이 된다. (3) 결국 이들의 ‘방법론’으로부터 이들의 존재성을 떼어내기 어려우며, 이들의 방법은 이들의 세계가 된다. (4) 이로 인해 교사들은 가르치는 상황 속에서 만들어낸 방법적 소통이 결국 자신이 발 딛고 있는 교육세계의 기반이라는 점을 발견한다. 이런 논리구조를 한마디로 표현하면, 성인문해교육자의 전문성은 그 자체가 이들의 세계이며, 이런 이중고리가 이 척박한 직업에서 떠나지 못하게 하는 자기지속가능성의 이유가 된다.

    영어초록

    The study investigates the multiple dimensions of adult literacy educators, especially focusing on the process of developing one's expertise and the relations with enhancing the sustainability in their job persistence. The researcher conducted participatory observation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a senior literacy educator who has been teaching at a literacy institute in the Metropolitan City of Ulsan, and additionally three other teachers, with 16 adult learners who have attended the institute, were interviewed. The research found three thematic domains and 10 other independent domains that drove them to increase sustainability in their job persistence. The research revealed that the expertise that the literacy educators have been developing included not only the levels of skills or competencies, but also self-determination and sustainable dedication to the job. The endurance of job sustainability in such poor conditions especially is not possible without contemplation, reflection, and philosophical stubbornness obtained from difficult field experiences. The difficulties in literacy education come from the 'flipped relationships' of the teacher-learner and their comprehensive world-views, rather than from the complexities of literacy education. These come from the irony that the learners are adults who have already lived out their own difficult lives without knowing and getting symbolic help from the letters, which oddly twisted their lives and perspectives. To understand the distorted world of their lives can hardly be completed through mere teaching skills or competence. In this sense, (1) the expertise of adult literacy educators is the expertise constructed by oneself in the field, (2) the form of expertise includes the reflections of the specific prism of the world teachers and learners have perceived, (3) so the "teaching method in practice" cannot be separated from that of their existential way of penetrating the world, and naturally the method is nothing but the world itself, (4) teachers recognize the teaching expertise as nothing but the world they live in everyday, and teachers realize their work is the way they live. To put it short, the expertise of adult literacy educators is nothing but the world in which they live, and the self-circuit of "work" and "living" binds their lives to the workpla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평생교육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