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성찰일지를 통해 살펴본 협동학습에 대한 인식 (Recognition of Cooperative Learning through Reflection Journal)

1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24.12
13P 미리보기
성찰일지를 통해 살펴본 협동학습에 대한 인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가정과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36권 / 4호 / 55 ~ 67페이지
    · 저자명 : 이정욱, 신혜원

    초록

    2021년부터 2024년까지 개설된 가정교육과 전공수업인 ‘가정생활과 문화’에서 학습자의 협동학습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협동과제를 진행하고 성찰일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학습자들이 작성한 성찰일지를 질적 분석과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협동학습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으로 협동학습을 통해 배운 점, 협동학습의 성공⋅실패 요인, 그리고 협동학습이 향후 교직생활에 미치는 영향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학습자들은 가정교과가 비판적이고 실천적인 문제를 다루는 교과이므로, 새로운 지식을 습득하고 다양한 관점에서 문제해결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인식했다. 또한 협동과제 수행과정에서 의사소통능력과 모둠원 간의 신뢰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협동학습의 성공요인으로는 팀워크, 팀원 간의 협력, 공유와 같은 상호의존성 및 협동적 기능 요인, 역할분담과 책임감과 같은 개별 책무성 요인, 그리고 토의와 의사소통 등 상호작용 요인을 꼽았다. 반면 모둠원 간의 갈등을 협동학습의 주된 실패 요인으로, 협동학습에서 학습자들이 가장 어려움을 느끼는 부분이 소통임을 알 수 있었다. 대부분의 학습자는 협동학습이 자기주도적 학습방법으로, 주제설정에서부터 학습방법 설계, 그리고 전달방식까지 예비교사로서의 향후 교직생활에 도움이 된다고 공감하였다. 즉, 협동학습은 교직 생활에 필요한 구체적인 경험을 학습하는 시간이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영어초록

    In the major course “Culture of Family Life” within the Departmen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offered from 2021 to 2024, students completed a cooperative assignment and were asked to write reflective journals to explore their perceptions of cooperative learning. The students' reflective journals were then analyzed using a qualitative approach and text mining analysis. This study examined students' perceptions of cooperative learning, focusing on what they learned through cooperative learning, the factors contributing to its success or failure, and its impact on their future teaching profession. Students recognized that Home Economics addresses critical and practical issues, making it essential to acquire new knowledge and explore solutions from diverse perspectives. They also emphasized that communication skills and trust among team members are crucial for successfully completing collaborative tasks. The identified success factors of collaborative learning included interdependence and functional factors such as teamwork, cooperation, and sharing among team members, individual accountability factors such as role division and responsibility, and interaction factors like discussion and communication. On the other hand, students identified conflicts among team members as the main cause of failure in collaborative learning, highlighting communication as the most challenging aspect. Most students agreed that collaborative learning, as a self-directed learning method, enhanced their future teaching careers by improving skills in topic selection, teaching method design, and presentation. In summary, students perceived collaborative learning as an opportunity to gain practical experiences valuable for their future roles in the teaching profess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