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시따(Sita) 담론과 여성에 대한 인식 차이 (Discourses On Sita and Difference in Perception of Wome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18.08
30P 미리보기
시따(Sita) 담론과 여성에 대한 인식 차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화융합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화와융합 / 40권 / 4호 / 639 ~ 668페이지
    · 저자명 : 박금표

    초록

    본 논문에서는 20세기 시따 담론의 형성, 이에 대한 비판적 담론이 제기되었던 추이, 그리고 진보적 성향의 여성이라 할 수 있는 끼슈와르의 글을 통해 드러난 시따 담론의 전환 등을 검토했다.
    비베까난다와 간디는 식민지배 인도에서, 인도의 주체성에 방점을 두고 시따를 롤 모델로 거론하여 20세기 시따 담론을 유발시켰다. 그들은, 여성이 남성과는 다른 특성을 가진 존재이나 후대에 수직적 차별 규정들이 생겼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순수한 인도 전통의 본질을 되살릴 수 있는 여성으로 시따를 선택했다.
    네루는 여성지위 향상에 도움이 되지 못한다고 생각하여 시따를 거론하는 것에 반대했다. 인도여성지위위원회의 보고서에서 여성의 종속적이고 의존적 역할에 관한 전통적인 가치들이 지속되고 있어서 여성 차별이 개선되지 않았음이 드러났다. 이로 인해 여성 지위 향상에 방점을 두고 시따를 거부하는 비판적 담론이 형성되었으며 더 이상은 시따처럼 살고 싶지 않다는 선언적 발언도 등장했다. 그러나 이러한 반대 담론은 힌두근본주의 성장과 함께 시따를 긍정하는 담론으로 전환된다.
    힌두근본주의 성향의 여성들은 ‘남녀의 차이’에 근거하여 시따를 당당하면서도 여성의 의무를 다하는 이미지로 재해석했다. 진보적 성향의 끼슈와르는 시따를 거부하는 데에서 출발했다. 그러나 시따를 긍정하면서 람을 거부하고, 나아가 람을 시따에 걸맞는 남편으로 개조해야 한다는 방향으로 시따 담론을 전환시켰다. 이러한 전환에는 ‘남녀의 차별’이라는 인식과 ‘남녀의 역할 차이’ 인식이 공존하고 있다.
    그러나 시따를 지지/반대/재해석 하는 모든 담론들이 여성들에게 하나의 롤 모델을 만들어 적용해야 한다는 인식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필자는 획일적 롤 모델을 여성들에게 요구하는 인식에서 벗어나지 못한다면 여성차별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고 여성이 주체적으로 성장하기 어렵다고 생각한다.

    영어초록

    In this article, the formation of discourses on Sita in the 20th century, the rise of critical discourses, and the changeover through the writings of Kishwar, a woman of progressive intellect have been examined.
    In British Colonial India, emphasizing Indian identity, Vivekananda and Gandhi have provoked the discourses on Sita in the 20th century through portraying Sita as an ideal role model for women. Sita was chosen as a woman who could revive the original nature of Indian tradition since they regarded vertical gender discrimination rules as the product of later date despite the innate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On the other hand, Nehru opposed portraying Sita as a role model on the ground that it would consequentially hinder the elevation of the status of women. CSWI’s report showed that gender equality had not been achieved yet because of the sustenance of traditional values regarding women’s subsidiary role. Due to this, highlighting the elevation of the status of women, the critical discourses rejecting Sita was formed and the statement refusing Sita’s way of life was declared. However, with the development of Hindu fundamentalism, such arguments started to be converted into the discourses affirming Sita.
    Women with a strong inclination on Hindu fundamentalism reinterpreted Sita, on the basis of ‘gender differences’, as the image of a confident woman who discharges herself of women’s duty at the same time. Kishwar who took a progressive stance on gender issue began with rejecting Sita. Then, with affirming Sita while rejecting Ram, she, furthermore, changed the discourse towards the transformation Ram into a suitable husband for Sita. In such changeover, both recognitions of ‘gender discrimination’ and ‘gender role difference’ exist side by side.
    However, all discourses supporting/opposing/reinterpreting Sita still lies within the recognition which insists to make the sole role model for women. From the above, I am convinced that without departing from the recognition requiring a standardized role-model for women, the elimination of gender discrimination and the independent growth of women will be difficult to grasp.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화와융합”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