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남아 연무문제 대응의 국제법적 함의 (Haze Pollution in Southeast Asia and International law)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14.08
36P 미리보기
동남아 연무문제 대응의 국제법적 함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환경법학회
    · 수록지 정보 : 환경법연구 / 36권 / 2호 / 145 ~ 180페이지
    · 저자명 : 박병도

    초록

    1990년대부터 국경을 넘는 오염문제는 ASEAN의 공동 관심사 중의 하나가 되었으며, 그 중 연무문제는 연무가 회원국들에게 광범위하게 확산되면서 ASEAN 환경문서들의 주요 사안이 되었다. 인도네시아에서 발생한 연무로 엄청난 악영향을 미쳤음에도 문제를 가벼이 여겼던 입장은 연무가 발생하던 초기 단계에 ‘ASEAN 방식’(ASEAN Way)의 일관된 태도이었다. 그러나 1997년 이후 거의 매년 반복해서 발생하고 그 피해가 간과할 수 없는 수준에 이르자 ASEAN도 더 이상 이 문제를 방기할 수 없는 상황에 이르렀다. 그리하여 1990년대부터 연무문제에 대응하기 시작하였으며 이와 관련한 다수의 연성법적 환경문서들이 채택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동남아 연무문제에 적용가능한 국제법원 법원을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제법상 국가책임이론을 적용하여 그러한 연무 피해에 대해 어느 국가가 법적 책임이 있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국제법상 ‘환경손해를 야기하지 않을 책임원칙’을 적용하여 인도네시아의 국가책임을 지적하고자 한다. 또한 연무발생의 원인을 제공하고 있는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섬과 칼리만탄 섬의 삼림벌채와 토지개간을 위한 산불에 연루되어 있는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 기업의 책임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그러나 동남아 연무문제에 대해 전통적인 국제법상 국가책임제도를 원용하는 것이 실제로 한계가 있음을 지적한다. 따라서 전통적인 국가책임제도를 통한 방법 이외에 1990년대 이후 연무문제를 취급한 동남아 국가연합이라는 지역 공동체의 대응과 역할, 그리고 이와 관련한 다수의 연성법적 환경문서들의 내용을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제 막 동트기 시작한 동남아 연무문제의 해결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특히 연무문제 해결방안으로 동남아 지역 환경 거버넌스의 구축과 역할을 제시해 본다. 이러한 논의과정에서 동남아 연무문제의 해결방안의 국제법적 함의를 인식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이는 유사하면서도 다른 축면이 있는 동북아지역의 황사 및 미세먼지 문제의 해결방안을 모색하는데 시사점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영어초록

    Transboundary haze pollution was one of the common concerns of ASEAN in the 1990s. Haze pollution had wrought disaster on health, transportation, construction, tourism, forestry, and agriculture, not to mention having an economic impact. The annual haze reportedly returned at the end of July 2013. The haze of 2013 was not an isolated incident since forests and peatlands are regularly set on fire in Indonesia, especially on the island of Sumatra, in order to clear land for palm oil plantations and the pulp and paper industry.
    The involvement of Indonesia might potentially trigger its responsibility in view of the applicable rules of international law. Under customary international law, a state must ensure that activities taking place under its jurisdiction and control do not cause damage to the environment of the other states. This principle is a fundamental principle of international environmental law. However, the application of state responsibility systems are not appropriate for the haze problem. In the ASEAN context, the transboundary haze pollution is considered to be a ‘shared environmental problem’ of the ASEAN member states. The haze is seen as a ‘common problem’ that should be solved ‘together in the spirit of Asean solidarity’. Thus, The focus is on cooperation between member states.
    When the haze began to spread to region of the member countries, it became the focus of some ASEAN environmental instruments. This article will assess the progressive development of the role of ASEAN in dealing with the haze from the 1990s.
    Given the complexity and magnitude of the problem, which straddles not only law and policy but also the changing dynamics of politics, economics, and sociocultural dimensions, above all, to response haze, actors such as states, international organizations, the private sectors,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NGOs), and others is required to participate and to cooperate, Therefore I note that the ultimate solution of the problem of haze construct ASEAN regional environmental governa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환경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