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기호학과 기독교교육 - 퍼스의 삼중적 기호이해와 성서교수학적 성찰 - (Semiotics and Religious Didactics A religious didactical reflection with regard to the triadic semiotic theory of Peirce)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19.05
32P 미리보기
기호학과 기독교교육 - 퍼스의 삼중적 기호이해와 성서교수학적 성찰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천신학회
    · 수록지 정보 : 신학과 실천 / 64호 / 171 ~ 202페이지
    · 저자명 : 고원석

    초록

    본 연구는 현대 기호학의 설립자 중 한 사람인 찰스 퍼스의 삼중적 기호이해의 관점에서 독일 기독교교육의 대표적인 성서교수학 모델을 성찰함으로써 퍼스의 기호학이 현대 기독교교육의 학문적 성찰에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먼저 퍼스의 기호이론을 삼중적 기호구조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퍼스에 따르면, 모든 인간의 사유 행위는 기호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인간을 둘러싸고 있는 모든 현실 세계는 기호체계로 이루어져있기 때문에 인간은 어떤 사물이나 대상을 직접적으로 인식하지 못하고 언제나 기호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인식한다. 인간은 기호로 지각하고, 생각하고, 말하는 존재다. 특별히 퍼스는 기호를 삼중적 관계구조로 이해한다. 즉, 퍼스는 주체-객체, 또는 인식자와 인식대상이라고 하는 인식의 이중구조를 넘어서 표상체-대상체-해석체의 삼중적 구조로 기호를 바라본다. 모든 사고의 의미는, 대상을 규정하는 기호로써 사고를 해석하는 삼중적 관계에 의해서 확립되는 것이다. 이어서 본 연구는 이중적으로 환원된 기호이해의 문제점을 살펴봄으로써 퍼스의 기호이해가 현대 학문을 위한 반성의 틀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한다. 퍼스 기호학의 삼중적 구조는 의미생산의 원심력과 구심력의 조화를 추구한다고 할 수 있으며, 진리의 소통과 확장을 지향하면서도 진리의 본질을 진지하게 생각한다그리고 퍼스의 삼중적 기호이해에 근거하여 20세기에 있었던 독일의 대표적인 성서교수학 모델, 즉 선포모델, 해석모델, 경험모델을 살펴보고 그 모델들이 기호학적 측면에서 이중적으로 환원된 기호이해에 근거하고 있음을 지적한다. 첫째, 기호가 표상체와 대상체의 관계로 환원될 때, 기호의 문법적 기능이 강조되어 교조적이고 일방적인 형태로 나타나게 된다. 둘째, 기호의 대상체와 해석체의 관계로 환원될 때, 기호는 의미론적 측면으로 강화되고 구체성을 상실한 일반화된 의미를 제공하는 것으로 그칠 수 있다. 셋째, 기호가 표상체와 해석체의 관계로 환원될 때, 기호는 화용론적 측면으로 강화되고 보편성에 대한 부분이 약화되면서 다원적, 실용적 측면으로 도구화되는 양상을 띠게 된다. 결국 각 성서교수학 모델의 문제점은 간과된 기호측면에 주목할 때 보완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런 점에서 퍼스의 삼중적 기호이론은 기독교교육 이론의 정립을 위한 성찰의 틀걸이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investigation is a semiotic reflection on the contemporary religious didactic models, especially with regard to the three-dimensional semiotic theory of the American philosopher Charles Sanders Peirce. It is recognized worldwide that Peirc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ounders of modern semiotics and that his theory of sign still plays a fundamental role in today’s semiotic work.
    According to Peirce, every thought is a sign. All the world around humans consists of sign systems, so that peopl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mediation of the sign. In particular, he sees characters in a triadic structure between representamen, object and interpretant and in relation to the infinite semiotic process of three. In this semiotic process are pairs of forces, or centrifugal and centripetal force of the semiotic process. In their centrifugal and centripetal process, religious communication activates itself as well as distances itself from the false extremization tendency of our communication.
    Reflecting on the three religious educational models of the twentieth century, in other words, the proclamative model, the hermeneutical model and the empirical model in terms of the triadic semiotic theory, I find out that each of them has been reduced to a distinct two-dimensional structure of representamen and object, object and interpretant, or representamen and interpretant. In the religious didactical reduction of the representamen and object of the sign, a fundamentalist and authoritarian didactic form emerges, in which the grammatical perspective of the sign is overemphasized. When it is reduced to the religious didactical aspect of the object and interpretant of the sign, an abstracted semantic form emerges that loses the dynamics of concrete signs. In the didactical reduction of representamen and interpretant of the sign without reference to its object, a functionalized didactical form emerges, which is mainly about the pluralistic and pragmatic character of the sign and therefore the areas of tension of the question of truth are marginalized. It will be noted that the triadic semiotic process can offer an important measure or perspective for religious didactic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과 실천”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