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Z세대의 지역 문제 인식 분석 -디자인 씽킹을 통한 문제해결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Generation Z’s Awareness of Regional Problem : Problem Solving through Design Thinking)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24.02
20P 미리보기
Z세대의 지역 문제 인식 분석 -디자인 씽킹을 통한 문제해결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예술경영학회
    · 수록지 정보 : 예술경영연구 / 69호 / 191 ~ 210페이지
    · 저자명 : 임성윤, 박지유

    초록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격차는 일자리, 교통, 문화, 생활 시설 등의 삶의 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친다. 수도권 인구는 전체 인구의 50.4%를 차지하며, 113개의 비수도권 지역이 소멸위기를 겪고 있다. 지역 간 격차 해소를 위한 다양한 정책도 실효성을 거두지 못하고 있어 대안적인 접근이 필요한 상황이다. 지역 간 불균형과 생활 인구 개념을 고려한 효과적 정책 수립을 위해서는 지역별, 세대별 문제 인식 분석이 우선 고려될 필요가 있다. 특히, Z세대는 앞으로 정착할 도시를 정하는 미래 세대이므로 이들이 주도한 지역 문제 발견은 지역 문제 해소에 장기적으로 긍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주민들이 참여한 문제해결 사례를 분석하고, Z세대가 디자인 씽킹(Design Thinking)을 통해 직접 지역 문제를 찾는 프로젝트를 수행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지역 문제 분석을 위해, 행정안전부에서 실행한 2023년 ‘지역 문제해결 플랫폼’ 프로젝트를 선택하였고 울산, 부산, 강원, 대전, 전북, 광주 총 6개 지역에서 진행되고 있는 47개 사례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Z세대의 지역 문제 발견은 평택, 안성 지역에서 이루어졌으며, 15주 동안 대학생들이 직접 지역을 탐방하고 조사할 수 있는 디자인 씽킹 방법론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 분석 결과, 지역주민은 ‘사회・안전 및 공동체’, ‘도시재생과 회복', ‘환경과 지속가능성', ‘보육・교육과 아동' 총 4가지의 카테고리의 문제를 발견했고 그 중 ‘사회·안전 및 공동체'에 가장 중점을 두었다. 반면, Z세대는 ‘도시재생과 회복', ‘교통 및 이동수단', ‘환경과 지속가능성', ‘사회・안전 및 공동체', ‘보육・교육과 아동' 등 총 5가지 카테고리의 문제를 발견했으며 그 중 ‘도시재생과 회복’에 가장 중점을 두고 지역주민들은 인식하지 못한 ‘교통’ 문제 또한 중요하게 생각했다. 정리하자면 Z세대는 지역주민이 발견한 문제들을 동일하게 인식함과 동시에 보다 다각적인 문제 발견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의의로는 Z세대 관찰자 시점의 문제 발견이 향후 지역사회 문제해결과 젊은 층의 생활 인구 유치를 위한 대안적인 방안을 제시해줄 것으로 기대된다.

    영어초록

    The difference between the metropolitan and non-metropolitan areas significantly impacts life satisfaction in terms of jobs, transportation, culture, and living facilities. The population in the metropolitan area constitutes 50.4% of the total, with 113 regions facing population decline. Various policies aimed at addressing regional disparities have proven ineffective, necessitating alternative approaches. Analyzing problem perceptions at the regional and generational levels is crucial for alternative policies considering regional imbalances and the concept of living population. Notably, the involvement of Generation Z, the future generation deciding where to settle, in identifying regional issues can have a long-term positive impact on solving these problems.
    In this study, we analyzed cases of problem-solving involving the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and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by executing a project where Generation Z directly identified regional problems through Design Thinking. To analyze regional issues, the "Regional Issue Resolution Platform" project executed by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in 2023 was selected. Forty-seven cases from six regions—Ulsan, Busan, Gangwon, Daejeon, Jeonbuk, and Gwangju—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process of Generation Z identifying regional problems took place through Design Thinking, with university students exploring and investigating the Pyeongtaek and Anseong regions directly for 15 weeks.
    The research findings revealed that while local residents focused on the ‘Social Safety and Community' category among the four, Generation Z emphasized ‘Urban Regeneration and Recovery' out of the five categories. Additionally, Generation Z, as a living population, considered the previously overlooked ‘transportation' issue as significant. In summary, Generation Z not only recognized problems identified by local residents but also discovered more diverse issues.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lies in anticipating that the problem identifi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Generation Z observers will provide alternative solutions for future regional issue resolutions and attract the young popul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