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디자인 씽킹에 기반한 기술교사 성찰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사례 분석 (Analysis of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Case of Technology Teachers Reflection Program Based on Design Thinking)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19.04
21P 미리보기
디자인 씽킹에 기반한 기술교사 성찰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사례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술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기술교육학회지 / 19권 / 1호 / 76 ~ 96페이지
    · 저자명 : 이진우, 최유현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디자인 씽킹에 기반한 기술교사 성찰 프로그램(Technology teachers reflection program based on design thinking)’을 개발하고 적용해 기술교사의 전문성을 향상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타당화했으며 워크숍을 통해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그 과정에 대해 분석했다. 이 연구는 Yin(2016)의 사례연구(case study) 방법을 활용했다. 연구 참여자는 전국의 기술교사 중 8명을 눈덩이 표집(snowball sampling) 방법으로 선정했다.
    워크숍 전에 실시한 면담을 통해 기술교사들은 변화에 쫓김, 서툰 공감, 실패에 대한 두려움, 배움에 대한 갈증, 자신감 부족의 다섯 가지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발견했다. 디자인 씽킹 워크숍과 선행연구들을 참고해 다섯 가지 어려움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안하였고, 연구 참여자들도 해결방안에 공감했다.
    디자인 씽킹 워크숍을 통해 기술교사들은 ‘10가지 마음가짐(mindset)’을 갖게 되었다. 10가지 마음가짐은 수집된 자료의 분석과 선행연구(d.school, 2018; Dweck, 2017; Schweitzer, Groeger, & Sobel, 2016)를 통해 도출하였다. 10가지 마음가짐을 갖는 것으로 기술교사들이 겪는 다섯 가지 어려움은 해결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10가지 마음가짐은 기술교사가 창조적 자신감(creative confidence)을 갖도록 하는데도 도움을 주었다. 연구에 참여한 기술교사들은 빠른 시제품 만들기(rapid prototype)의 과정에서 실패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하며 창조적 자신감을 회복해 나가고 있었다.
    연구에 참여한 기술교사들은 창조적 자신감을 바탕으로 Schön(1983)이 말하는 ‘성찰적 실천가(reflective practitioner)’로 성장해 나가고 있었다.
    요컨대, 디자인 씽킹은 기술교사들이 ‘기술교사의 어려움’을 해결하고, 그 과정을 통해 ‘마음가짐(mindset)’을 변화시키고, 다시 ‘창조적 자신감’을 회복시키며, 궁극적으로 ‘성찰적 실천가’로의 성장을 돕는다. 이는 선행 연구의 결과(d.school, 2018; Dweck, 2017; Johansson‐Sköldberg, Woodilla, & Çetinkaya, 2013; Schweitzer et al., 2016; Straker & Wrigley, 2014; Wrigley & Straker, 2017)에서도 동일하게 확인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expertise of technology teachers by developing and applying ‘technology teachers reflection program based on design thinking.’ For this, the programs were developed and verified, of which the processes he analyzed after applying them at the workshops. This study utilized Yin’s(2016) methods of case study. Eight of the national technology teacher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through snowball sampling method.
    The technology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workshop wrote out class reflection records before and after the workshop. Research participants were also interviewed before and after the workshop, and the interviews were record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general process of qualitative data analysis of Kim Young – chun. (2014, pp. 528~543) Through the interviews conducted before the workshop, the technology teachers found that they had five difficulties as follows; being chased by change, fear of failure, thirst for learning, poor empathy, and lack of confidence. Reference to the design thinking workshop and the previous researches suggested the solution to the five difficulties, and the research participants also sympathized with the solution.
    The design thinking workshop enabled the technology teachers to have "ten mindsets." Ten mindsets were derived from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and the precedent study (d. school 2018a; Dweck, 2017; Schweitzer et al., 2016).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technology teachers’ five difficulties can be solved by having ten mindsets.
    The ten mindsets helped the technology teachers to have creative confidence. The technology teachers participating in the research were recovering their creative confidence by getting over the fear of failure in the process of making rapid prototypes.
    The technology teachers participating in the research were growing up into "reflective practitioners" of Schön (1983) based on their creative confidence.
    In brief, design thinking helps technology teachers to solve ‘their difficulties', change ‘mindsets' through the process, restore ‘creative confidence' again, and ultimately grow as r ‘eflective practitioners'. This is also confirmed in the outputs of the precedent research (d.school, 2018a; Dweck, 2017; Johansson‐Sköldberg et al., 2013; Schweitzer et al., 2016; Straker & Wrigley, 2014; Wrigley & Straker, 2017).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기술교육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7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