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도야의 전일성: 내러티브 씽킹과 하브루타 토킹 (A study on holism of bildung: narrative thinking and havruta talking)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18.12
26P 미리보기
도야의 전일성: 내러티브 씽킹과 하브루타 토킹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 6권 / 3호 / 109 ~ 134페이지
    · 저자명 : 고요한, 고보라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의 인습적인 두 가지 형식인 사변(思辨)도야와 수사(修辭)도야의 통합 필요성 및 가능성에 대하여 해석학적-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하여 고찰하는 것이다. 교육의 이론과 실천에 대한 합의된 정설은 없다. 이는 교육학의 방법론적 복수주의에 기인한다. 본 연구는 교육현상의 본질을 사고와 표현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궁극적으로 이러한 두 가지 양식이 통합되는 전일성을 교육의 합당한 목표로 삼았다. 이에 대한 논증은 씽킹과 토킹이라는 두 가지 교육양식에 대한 분석을 통해 각각의 특장을 살피고 결론적으로 통합 필요성과 가능성을 고찰함으로 가능하다고 보았다. 역사적으로 도야재로서의 씽킹은 플라톤의 철학에게서 비롯되어 브루너에 이르고 있으며, 도야재로서의 토킹은 이소크라테스의 수사학에서 시원(始原)하여 현대 하브루타교육에 이르고 있다. 두 가지 도야형식은 서로 상이한 관점과 이해를 바탕으로 유산처럼 전승되었지만 오늘날 학교교육 현실을 비판적으로 분석해 볼 때 궁극적으로 하나가 되어야 할 교육인간학적 필요성이 발견되었다. 즉, 교육의 두 가지 형식으로 전승되어 온 씽킹과 토킹의 도야들은 언어와 전인교육이라는 점에서 통합의 접점이 드러났다. 오늘날 학교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학습장면은 수험(受驗)교육에 경도(傾倒)되어 지적 사고의 철저한 연습과 훈련에만 치우쳐 있는 것이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인간교육의 본질을 회복하고 교육의 인간화를 원한다면 앞으로 우리교육은 도야의 두 가지 유산과 형식인 씽킹과 토킹의 묘합(妙合)을 통한 진정한 전인교육을 추구해야만 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onsideration for two mode of bildung, thinking and talking by hermeneutic-phenomenological method. There are not consensus for educational theory and practice because of methodological pluralism. In this paper, researcher prescribed teaching and expression as essence of educational phenomenon. And the holistic combination of two mode is appropriate objective of all educational task in the world. This understanding for educational essence will verify by analysing the mode of bildung, thinking and talking. The mode of thinking as bildung started from Plato’s thought on education and person and another mode began from Isocrates’ thought as rhetorical device. Two mode were transmitted form generation to generation, in current, thinking mode appears by narrative thinking by J. Bruner and talking mode as another one appears by contemporary Havruta. Two mode for human education is conflict and contrary in the educational idea and method, but there are possibility for integration, The point of contact is in language and holistic education because two mode is not separate one in the dimension of intrinsic attribute. In the modern school, instruction for only test dominate over classroom and it make student slaves of memory to knowledge which do not contain meaning to them. Schooling must reconstruct from rigid intellectual practice to holistic experience which will develop all student as whole pers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내러티브와 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