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통일을 기다리는 나날들 -7·4 남북공동성명 직전의 최인훈과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Days waiting for Reunification: Choi In-hoon just before The 7.4 North-South Joint Statement and One Day of the Novelist Gubo)

6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17.06
63P 미리보기
통일을 기다리는 나날들 -7·4 남북공동성명 직전의 최인훈과 &lt;소설가 구보씨의 일일&gt;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통일과 평화 / 9권 / 1호 / 254 ~ 316페이지
    · 저자명 : 장문석

    초록

    이 글은 최인훈의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1970~1972)을 데탕트 국면에서 변화해 가는 남북관계와 사회적 분위기에 대한 ‘월남인’의 대응과 문화적 상상으로 독해하였다. 1970년을 전후한 데탕트로 인해 남북관계의 긴장은 완화되었으며, 한국전쟁 중에 월남한 소설가 최인훈은 남북적십자회담이 진행되는 사회적 분위기 아래에서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을 창작하였다. 1960년대 최인훈은 중립과 제3세계를 주제로 한 소설을 통해 냉전체제 너머의 아시아를 상상하고자 하였다. 이 시기의 소설들은 정치적인 주제와 지식인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나 1970년대 초반에 쓰인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은 냉전 너머를 향한 최인훈의 상상이 변화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 소설은 처음에는 느슨한 단편소설의 연작으로 계획되었지만, 최인훈이 월간지에 연재할 기회를 얻게 된 이후, 데탕트 아래 한국의 사회와 문화에 대한 월차보고서로 그 성격이 변화하였다. 한국전쟁 중에 월남을 했던 주동인물 구보씨는 뉴스와 신문을 통해 냉전체제의 변동과 남북의 접촉에 깊은 관심을 보인다. 소설가 구보씨의 1년은 뉴스를 통해 기대와 실망, 놀람과 지루함을 거듭 경험하는 나날이었다. 그 결과 구보씨는 통일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수정하는데, 통일은 국가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민간에 의해 수행되어야 한다는 것이 그의 결론이었다.
    그는 한국에서 공공영역이 형성되지 못한 이유를 탐색하면서, 민중의 일상에 대한 존중과 친밀권에 근거한 지역에서의 대안적 공공권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구보씨의 결론을 “광장으로 나오는 공공의 통일론”으로 명명할 수 있다. 또한 문학이라는 사회적 영역의 전문가인 구보는, 분단 이후 금지된 월북작가의 작품을 간행하고자 하였다. 그의 시도는 나누어진 문학사를 연결하는 것을 넘어서, 예술의 다양한 영역이 서로 소통할 수 있는 공통의 ‘전통’을 형성하는 것이었다. 최인훈의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은 민중의 생활감각과 대안적 공공성에 근거하여 통일을 이해하고, 사회적 연대로서 평화를 상상한 소설로 독해할 수 있다.이 글은 최인훈의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1970~1972)을 데탕트 국면에서 변화해 가는 남북관계와 사회적 분위기에 대한 ‘월남인’의 대응과 문화적 상상으로 독해하였다. 1970년을 전후한 데탕트로 인해 남북관계의 긴장은 완화되었으며, 한국전쟁 중에 월남한 소설가 최인훈은 남북적십자회담이 진행되는 사회적 분위기 아래에서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을 창작하였다. 1960년대 최인훈은 중립과 제3세계를 주제로 한 소설을 통해 냉전체제 너머의 아시아를 상상하고자 하였다. 이 시기의 소설들은 정치적인 주제와 지식인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나 1970년대 초반에 쓰인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은 냉전 너머를 향한 최인훈의 상상이 변화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 소설은 처음에는 느슨한 단편소설의 연작으로 계획되었지만, 최인훈이 월간지에 연재할 기회를 얻게 된 이후, 데탕트 아래 한국의 사회와 문화에 대한 월차보고서로 그 성격이 변화하였다. 한국전쟁 중에 월남을 했던 주동인물 구보씨는 뉴스와 신문을 통해 냉전체제의 변동과 남북의 접촉에 깊은 관심을 보인다. 소설가 구보씨의 1년은 뉴스를 통해 기대와 실망, 놀람과 지루함을 거듭 경험하는 나날이었다. 그 결과 구보씨는 통일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수정하는데, 통일은 국가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민간에 의해 수행되어야 한다는 것이 그의 결론이었다.
    그는 한국에서 공공영역이 형성되지 못한 이유를 탐색하면서, 민중의 일상에 대한 존중과 친밀권에 근거한 지역에서의 대안적 공공권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구보씨의 결론을 “광장으로 나오는 공공의 통일론”으로 명명할 수 있다. 또한 문학이라는 사회적 영역의 전문가인 구보는, 분단 이후 금지된 월북작가의 작품을 간행하고자 하였다. 그의 시도는 나누어진 문학사를 연결하는 것을 넘어서, 예술의 다양한 영역이 서로 소통할 수 있는 공통의 ‘전통’을 형성하는 것이었다. 최인훈의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은 민중의 생활감각과 대안적 공공성에 근거하여 통일을 이해하고, 사회적 연대로서 평화를 상상한 소설로 독해할 수 있다.

    영어초록

    Due to the Détente around 1970 and the inter-Korean Red Cross talks(1972), tensions between two Koreas have eased. Choi In-hoon, a novelist who came south over the border during Korean War, wrote One Day of the Novelist Gubo(1970-1972) under the social atmosphere of Détente. In the 1960s, Choi tried to imagine Asia beyond the Cold War by writing novels on the theme of neutrality and the Third World. These novels in 1960s focused on political themes and intellectuals. One Day of the Novelist Gubo written in the early 1970s, however, shows that Choi's vision beyond Cold-war has changed. Although this novel was initially planned as a series of loose short stories, Choi got a chance to serialize it in a monthly magazine, and One Day of Novelist Gubo changed to monthly report on Korean society and culture under Détente. Gubo, protagonist who came south over the border during Korean War, showed deep interest in changes of the Cold War system and inter-Korean contact through TV news and newspapers. Gubo continued to experience expectation, disappointment, surprise and boredom through news. Gubo, consequently, changed his thinking about unification through one year of experience. Gubo thought that unification should be carried out by the private sector, not by the state. He explored the reason why the public sphere was not formed in Korea. He also intended to build an alternative public sphere in the region based on intimate sphere with respect of daily lives of the people. The conclusion of Gubo can be named as “public unity theory coming out to the square”. Gubo, an expert in social field of literature, tried to publish the works of writers who went north over the border who was banned after the division. His attempt was not merely to link the divides of literary history, but to form a common 'tradition' that coul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various divisions of art. One Day of the Novelist Gubo is a novel in which a man who defected to South Korea imagines unification in everyday life. Through this novel, Choi interpreted the unification as the discouse of the people and tried to imagine peace through social solidarity.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통일과 평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