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언론자유의 위기와 ‘자유’의 의미에 대한 성찰: 함석헌의 씨알사상 조명 (Korean Journalism in Crisis and Reflection on the Meaning of ‘Freedom’: Review of Ham Sokhon's Ssial-Philosophy)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3 최종저작일 2015.06
40P 미리보기
한국 언론자유의 위기와 ‘자유’의 의미에 대한 성찰: 함석헌의 씨알사상 조명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사회사상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회사상과 문화 / 18권 / 2호 / 159 ~ 198페이지
    · 저자명 : 남궁협

    초록

    이 논문은 한국의 언론자유가 위기에 처해있다고 보고 그 위기의 직접적인 원인이 언론인 자신들의 자유 포기에 있다는 것을 밝히고자 하였다. 자유는 제도적 완성태가 아니라 그것을 실현하기 위해 끊임없이 분투해야만 하는 가능태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언론자유는 제도로 이룩되는 것이 아니라 언론인 스스로 자유를 지키고 확대해나가기 위해 노력해야 비로소 얻어지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이 논문은 언론학에서 그동안 다루어왔던 언론자유의 문제를 다른 각도에서 조명해보고자 하였다. 즉 자유의 본질은 저항을 통해 새롭게 형성해내고자 하는 ‘인격의 문제’라는 것이다. 따라서 언론자유는 언론인 개인들이 자신의 인격을 걸고 온갖 외부의 압력에 맞서서 고난을 감수하며 진실을 부르짖을 때 비로소 이룩되는 것이다.
    필자는 논문의 이러한 문제의식을 뒷받침하기 위한 논거를 함석헌의 ‘씨사상’에서 찾았다. 함석헌은 ‘자유는 곧 저항’이라는 점을 사상적으로 설파하였을 뿐만 아니라 몸소 언론인으로서 그것을 실천하기도 하였다. 지금부터 40여 년 전에 그가 직접 창간한 <씨의 소리>는 언론인이 어떠해야 언론자유를 획득할 수 있는 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전거(典據)인 셈이다. 또한 <씨의 소리>는 제도언론이 타락했을 때 대안언론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사례이기도 하다. 오늘날 한국 언론의 신뢰와 권위가 땅에 떨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새삼 함석헌의 씨사상과 그의 언론관은 우리에게 많은 시사점을 던져준다. 그는 우리 현대사의 한복판을 살아온 사상가이자 언론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껏 언론 사상가로서의 함석헌을 학문적으로 한 번도 진지하게 주목하지 않았다는 게 이상할 정도이다. 그런 점에서 이 논문은 함석헌의 언론사상을 조명해보는 첫 번째 연구인 셈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cause of Korean journalism's death, which resides in the fact that journalists of Korea themselves give up their right of free expression. Freedom is not completed by the law and institution but implemented by people's struggle. Similarly, freedom of the media is won by strengthening the freedom for journalists themselves. The nature of freedom consists in personality that forms the newness through resistance movement. Journalists must breast themselves to hardships to risk their personalities and then the freedom of the media will be gained.
    In this paper Ham Sokhon's Ssial-philosophy is reviewed as jurisdiction to support the above problematic. Ham Sokhon not only preached his own philosophy of ‘freedom is resistance’ as a philosopher but also put his theory into practice as a journalist. Ssial's Voice(Voice of the People), which was founded in 1970 by Ham Sokhon, showed what journalists should do to defend the freedom of media. Ham Sokhon's philosophy of journalism will demonstrate with the concept of ‘the freedom of media’ on the shaky ground that today the authority of journalism in Korea has been being collaps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회사상과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4 오후